나는 가난이 몸에 배어있다. 나는 가난이 무엇인지 두 눈으로 똑똑히 봤다. 나는 가난이 무엇인 줄을 아는, 사람이다.
나는 전남 담양군 수북면 풍수리 문씨 집성촌에 태어났다. 마을 앞이 널다란 들판이었지만, 논농사를 대대로 지으면서 가난하게 살아온, 문씨 집성촌에 태어났다.
얼마나 가난했는가? 봄이면, 동네 부자 집에서 쌀을 꾸어다 먹을 정도였다. 부모가 작고했을 때 남아 있는 물건은 아무 것도 없었다. 무(無)였다.
나는 서울에 올라 올 때 3,000원이 전부였다.
나는 미국의 뉴욕 맨해튼에서 5년(1985-1989)을 살았다. 신문사 기자 월급, 생활이 빠듯했다. 500달러를 주머니에 넣고 미국에 갔다가, 50달러를 지니고 귀국했다.
신혼생활, 집이 없이 살았다. 가난이 삶의 한 중앙을 독차지하고 있었다.
나는 회사를 27년간 운영해오면서, 내내 회사 청소를 하면서, 회사를 운영해왔다. 여비서나 운전수를 두지 않았다. 음식점에 가면, 식사 후 남는 음식이 있으면, 꼭 싸달라고 했다.
새 옷을 사 입은 기억, 그런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자동차도 없다. 걸어 다니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이런 지독한 근검절약 하는 행동, 미국에 살면서 배웠다. 나는 배추가 소금에 절여지듯, 나는 미국식 실용주의에 절어 살았다.
나는 공병우 박사님(한글 타자기 발명가. 1906-1995)과 친했는데, 그 분은 두 가닥 휴지 사용이 유행할 때, 휴지의 절반만 뜯어서 사용하는 분이었다.
태어난 이후 가난한 생활의 연속이었으니 절약정신이 몸에 배어 있다. 또한 공병우 박사, 그 분에게서 근검-절약 정신이 무언지를 배웠다.
나는 낭비하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 하루도 허투루 살지 않는다. 나는 내 맘대로 모든 것을 아끼면서 살아왔다. 나는 정장 양복을 착용하지 않는다. 늘 신고 다니는 양말도, 구멍이 나면, 그때마다, 바늘로 수 십 번 꿰매서 신고 산다. 내가 나를 생각해도, 나는 구두쇠이다.
나는 철저한 구두쇠, 아끼고 또 아끼는, 구두쇠 생활에 익숙해진 사람이다. 누군가, 나를 향해 “구두쇠”라고, 비난한다 해도, 나는 그 비난을 달게 받겠다.
가난에 절어 살았던 나는, 가난한 시골-농촌 마을에 태어난 나는, 매사(每事)를 감사하며 산다.
날마다, 살아있음에 희열(喜悅)을 느끼면서 살아간다. '가난, 너는 나의 위대한 스승이다! "
“모든 게 감사 합니다!"
<후기> 나는 부동산을 소유하긴 했으나, 수십 년 간 금융기관에 납부하는 이자를 내느라, 가난한 삶의 연속이다. 하지만, 나는 모든 것에 감사하며, 살아간다!! 나는 내 맘대로, 내가 하고 싶은 일(언론사 27년 경영)을 하면서 살아가니, 마음만은 부자(富者)-거부(巨富)라 생각한다. 나의 몸속에는 가난정신(spirit of hunger)이 가득 들어있다. moonilsuk@naver.com
*필자/문일석. 시인. 신문사(본지) 발행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 lived in poverty, but I live with gratitude for everything!!
[Essay-like approach] “Just as cabbage is pickled in salt, I lived in American-style pragmatism!”
- Moon Il-suk, publisher of a newspaper
I am immersed in poverty. I have seen poverty with my own eyes. I am a person who knows what poverty is.
I was born in the Moon clan village in Pungsu-ri, Subuk-myeon, Damyang-gun, Jeollanam-do. Although there was a wide field in front of the village, I was born in a Moon clan village where people had lived in poverty while farming rice for generations.
How poor were we? In the spring, we would borrow rice from the rich people in the neighborhood to eat. When my parents passed away, we had nothing left. We had nothing.
When I came to Seoul, I had only 3,000 won.
I lived in Manhattan, New York, USA for 5 years (1985-1989). The salary of a newspaper reporter was tight. I went to the US with $500 in my pocket and returned home with $50.
I lived without a house during my newlywed years. Poverty monopolized a central part of my life.
I ran a company for 27 years, and I ran the company while cleaning the company. I didn’t have a female secretary or a driver. When I went to a restaurant, I always asked them to wrap up any leftover food.
I don’t remember buying new clothes. I don’t have a car. I walk or use public transportation.
I learned this kind of extreme frugality while living in the US. I lived in American pragmatism, like cabbage pickled in salt.
I was close to Dr. Gong Byeong-woo (inventor of the Korean typewriter, 1906-1995), and when double-stranded toilet paper became popular, he would only tear off half of the toilet paper and use it.
Since I was born into poverty, I have a frugal spirit ingrained in me. Also, from Dr. Gong Byeong-woo, I learned what diligence and thrift are from him.
I have lived a life without waste. I do not waste a single day. I have lived my life frugally, doing everything I want. I do not wear formal attire. Even the socks I always wear, when they get holes, I sew them up with a needle dozens of times and wear them. Even when I think about myself, I am a miser.
I am a thorough miser, someone who is accustomed to living a miserly life, saving and saving. Even if someone criticizes me as a “miserter,” I will gladly accept that criticism.
I, who lived in poverty, was born in a poor rural village, and I live my life feeling gratitude for everything.
I live every day feeling joy in being alive. “Thank you for everything!”
<Review> I own real estate, but I have been living a poor life for decades, paying interest to financial institutions. However, I am grateful for everything and live!! I live my life doing what I want (managing a media company for 27 years), so I think I am rich at heart. My body is filled with the spirit of hunger. moonilsuk@naver.com
- The author’s recent appearance (photographed on November 10, 2024).
*Author/Moon Il-suk. Poet. Publisher of a newspaper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