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중국 명나라를 몰락으로 이끈 비선실세 엄숭과 세종 가정제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10 [10:07]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명나라를 위해 죽기를 각오하고 북로인 오이라트와 싸워 나라를 구한 우겸과 같은 충직하고 청렴한 관리가 있었던 것에 반해 이러한 인물들의 최후는 대부분 편안하지 못했다. 반면 이러한 인물들의 희생을 먹고 자라는 간신배들이 있다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중원 한족들이 한나라, 송나라, 명나라를 세워 통일했지만 이들 나라 중 가장 부패하고 무능한 나라는 명나라였다. 이러한 명나라의 부패함과 무능함을 주도했던 간신들은 환관들이었다. 물론 정화와 같은 인물은 해외로 원정하여 명나라의 위세를 끌어 올렸지만 그와 같은 인물은 사실 드물었다. 

 

엄숭(嚴嵩)은 강서(江西) 신여시(新餘市) 분의현(分宜縣) 사람으로 자는 유중(惟中), 호는 면암(勉庵), 개계(介溪), 분의(分宜)이다. 언뜻 보면 상당히 위세를 떨친 인물로 생각되지만 실제 이 인물의 내력을 보면 문필력 하나는 상당히 뛰어났던 것 같다. 이는 그의 문집인『검산당집(鈐山堂集)』에서 나타나는데 그가 25살 때이던 1505년 진사시에 수석으로 급제했다는 등을 볼 때 그는 명나라에서 수재 측에 들어가는 것은 분명했다. 그러나 엄숭에게는 중앙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좀처럼 주어지지 않았다. 

 

막강한 성리학 계통의 학통들이 중앙을 장악하고 있었고 이들에 의해 황제의 권력 자체도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는 토목보의 변 이후, 헌종 성화제(憲宗, 成化帝), 효종 홍치제(孝宗, 弘治帝) 시대에 어느 정도 세력을 되찾았다. 특히 효종 때는 대명률(大明律)을 개정하여 문형조례(問刑條例)를 반포하였고 법규를 정비하기 위해 대명회전(大明會典)을 개정하는 한편 서부(徐溥), 유건(劉健), 이동양(李東陽), 왕서(王恕), 마문승(馬文升), 구준(丘浚) 등 유능한 인재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구준이 헌정한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수렴하였고, 마문숭의 개혁안을 받아들여 국가 재정을 튼튼히 했다. 그러한 시기였기 때문에 엄숭이 중앙으로 파고 들어갈 자리가 없었던 것은 어쩌고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무종 정덕제(武宗, 正德帝)에 이어 세종 가정제(世宗, 嘉靖帝)가 즉위했다. 세종은 헌종 성화제의 손자이자 흥헌왕 주우원의 둘째 아들로 본래는 황위 계승과 상관없는 인물이었지만 형 주후희는 태어난지 5일만에 요절하였고 그가 부왕으로부터 흥헌왕의 작위를 물려받았다. 그러나 사촌형인 무종 정덕제가 후사없이 사망하면서 그는 황제로 추대되어 등극하게 된다. 세종 가정제는 전임 정덕제의 아들이나 친동생이 아니라 사촌동생으로 방계로부터 들어와 즉위했기 때문에 황제로써 누구의 뒤를 승계했는지에 관한 문제와 사촌형인 정덕제나 백부인 홍치제의 양자로 입적이 된다면 생부인 홍헌왕의 처우는 어떻게 할 것인가가 큰 관건이 되었다.

 

물론 <주자가례> 에 의하면 황제나 왕의 지위를 계승한 자는 그 전임자 사자가 된다는 규정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임자의 아들이나 다름 없는 위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자가례>의 원칙을 중시하는 양정화(楊廷和) 등을 위시한 성리학 체제의 관료들은 일부 절충하여 정덕제 대신 백부 뻘인 홍치제를 양아버지로 두고, 효종을 황고(皇考)로, 생부인 흥헌왕은 황숙고(皇叔考)라 칭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된다. 자신의 아버지를 <주자가례>의 원칙 때문에 숙부로 해야한다니... 누가 좋아하겠는가?

 

당연히 세종은 이를 불편하게 생각했지만 성리학 계통의 유학자들의 세가 막강했고 세종의 편을 들어주는 중신들은 몇되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세종은 효종을는 황고(皇考)로 친아버지인 흥헌왕은 황숙부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하게 된다. 그러나 이 때 가정제를 도와주는 슈퍼히어로와 같은 자가 등장하니 그가 바로 엄숭(嚴嵩)이다. 엄숭은 세종에게 주청하여 궁을 걸어 잠그고 친위군인 금군을 동원하여 아버지 흥헌왕을 황제로 추존하라고 하자 세종은 이를 따라 흥헌왕을 황제로 추존한다. 신료들은 궐문 밖에서 대대적인 농성전을 펼쳤다. 아버지를 황제로 추촌하려던 세종과 엄숭은 친부를 황고, 홍치제는 황백부라 칭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리하여 황제파와 정부가 정면으로 대립하는 대논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결국 친위대 금군과 엄숭이 이 사이 총병관(總兵官) 직위에 있던 구란(仇鸞)을 설득해 하북성 쪽의 방위군 15만을 북경에 집중시키자 이에 힘을 받은 가정제는 자신의 뜻을 밀어붙여 아버지 홍헌왕을 황제로 추존을 확정함과 동시에 양정화 등을 파직시키거나 주살했다. 

 

이후 세종은 중신 190명을 형부에 수감한 뒤 양정화를 비롯한 주모자를 변방으로 유배보냈으며, 4품이상 관리는 강등시키거나 봉급을 박탈하고 5품이하 관리는 장형으로 다스려 16명의 하급 관료들은 형문을 이기지 못하고 장살당했다. 이 대례의 의는 3년의 논쟁끝에 가정제의 뜻대로 되어 효종 홍치제는 황백고로 불렸고 장태후를 황백모라 하기로 하고 종결되었다. 

 

이 사건의 공로로 인하여 엄숭은 예부상서로 승진해 본격적으로 중앙에 진출하게 된다. 세종은 즉위 초기에는 정치 개혁을 어느 정도는 강구했으나 나중에는 도교에 빠지게 되었고 궁 안에 단을 만들고 신선을 부르기까지 하여 명나라의 법도를 어지럽히게 된다. 세종의 이러한 행위는 결국 조정 대사에는 당연히 관심이 적어지게 마련이었다. 특히 엄숭(嚴嵩)은 제문을 남들보다 잘 썼기 때문에 경건한 도교 신자인 세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이러한 공으로 내각대학사(內閣大學士)에 올랐다. 이후에도 승진을 거듭해 내각의 수보(首輔), 즉 재상의 직위에까지 올라갔다.

 

이후 세종은 더욱 도교에 대한 애정이 각별해져 불로불사(不老不死) 사상에 심취하게 되었는데 그는 단약을 제조하는데만 많은 시간과 민중들의 세금들을 허비하게 된다. 그리고 허황된 불로장생의 약초를 찾아 각지로 사람을 파견하기도 했다. 심지어 엄숭은 이러한 세종에 진언하기를 불로불사의 단약을 제조하기 위해 12~14세의 궁녀들의 첫 생리 혈액을 응고하여 경단을 만들어야 효험이 있다고 어이없는 진언을 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어린 궁녀들은 붙들려 강제로 월경액을 채취당하는.. 소위 말하는 짐승 같은 짓을 하게 된 것이다. 

 

이에 궁녀들 중 양금영(楊金英), 형취련(刑翠蓮) 등 16명이 세종을 죽이기로 모의하게 된다. 이들 궁녀들 나이가 12~14세로 세종의 엽기적인 행위의 피해자들이었던 것이다. 1542년 겨울 마침 세종이 단비(端妃) 조씨(曹氏)의 궁에서 자고 있을 때 이들 궁녀들은 세종이 잠든 틈을 타서 그를 목졸라 죽이려고 했다. 목을 졸리는 상황에서 세종을 구한 것은 황후 방씨(方氏)였다. 이 사건으로 양금영등 16명의 궁녀는 거열형(사지를 찢기는 형)에 능지처참까지 당하고 단비 조씨는 그들 궁녀 16명이 잠입하는데 눈치를 채지 못했다는 죄목과 더불어 이들 16명의 궁녀를 관리 감독하던 영비(寧妃) 왕씨(王氏)도 이들 궁녀들을 통제하지 못했다 황후 방씨의 명에 의해 주살되었다. 이 사건을 두고 임인궁변(壬寅宮變)이라 불려진다. 

 

이러한 세종은 다분히 변덕스럽고 폭력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는데 첫 번째 황후였던 진씨(陳氏)는 투기가 심하다는 이유로 세종의 발에 걷어차여 복중에 있던 아들과 함께 절명하였고 두 번째 황후였던 장씨(張氏)는 가정제 자신이 만든 단약을 먹지 않는다는 이유로 폐출되어 냉궁에서 병사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황후였던 방씨에 대해서는 임인궁변 당시 자신이 총애하고 있던 영비(寧妃) 왕씨(王氏)를 주살한 것에 대해 앙심을 품고 있었는데 몇 년뒤 황후가 거처하던 곤녕궁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세종은 그저 그를 방관만 하면서 황후를 구출하지 않았다. 결국 임인궁변 당시 세종의 '생명의 은인'이었던 방씨는 자신이 목숨을 구해주었던 세종에 의해 불에 타죽고 만다.

 

세종의 광폭 행위는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556년 역대 자연재해피해 순위의 2위권에 드는 산서성에서 대지진이 일어난다. 당시 산서 지방에는 탄광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지진에 대한 대비책이 부족한데다가 관료들의 대처도 미흡했고 세종은 아예 이 문제에 대한 관심 자체가 없었다. 특히 엄숭은 아들 엄세번(嚴世蕃)과 함께 구호물품들을 빼돌려 자신들의 재산 목록에 채웠다. 

 

그러한 부분으로 인하여 이후 여진이 발생하였어도 더욱 큰 피해를 입게 되었고 엄청난 이재민이 발생했음에도 지방 정권에서는 이들 이재민들을 거지 취급하여 추방했다. 이러한 불만들이 결국 한데 모여 신종(神宗) 만력제(萬曆帝) 때에 감숙성 영하 지역에서 타타르 출신 용병 보바이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보바이의 난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ecret power behind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Eom Sung and King Sejong's family

Columnist Jeong Gil-seon

 

While there were loyal and upright officials like Woo Gyeom, who were prepared to die for the Ming Dynasty and fought against the Oirat in the north to save the country, most of these people's ends were not comfortable. On the other hand,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re were traitors who grew up off the sacrifices of these people. The Han people of the Central Plains unified the Han, Song, and Ming dynasties, but the Ming was the most corrupt and incompetent of these dynasties. The traitors who led this corruption and incompetence of the Ming Dynasty were eunuchs. Of course, people like Jeong Hwa went on expeditions overseas and raised the Ming Dynasty's prestige, but such figures were rare in reality.

 

Eom Soong (嚴嵩) was from Bunyi County, Sinyeo City, Gangseo. His pen name was Yujung (惟中), and his nicknames were Myeonam (勉庵), Gaegye (介溪), and Bunyi (分宜). At first glance, he seems to have been a very powerful person, but if you look at his actual background, it seems that he had quite an outstanding writing ability. This is shown in his collected works, 『Geomsan Dangjip (鈐山堂集)』. Judging from the fact that he passed the Jinsa exam with the highest score in 1505 when he was 25 years old, it was clear that he was one of the most talented people in the Ming Dynasty. However, Eom Soong was rarely given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central government.

 

The powerful Neo-Confucian school of thought dominated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emperor's power itself was not being exercised due to them. After the incident with the Tomokbo, it regained some power during the reigns of Emperor Xianzong (成化帝) and Emperor Hyojong (孝宗). In particular,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yojong, the Great Ming Code was revised and the criminal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regulations were promulgated. In addition, the Great Ming Code was revised to organize the laws and regulations, and many capable people such as Seo Bu, Liu Jian, Lee Dongyang, Wang Seo, Ma Wensheng, and Gu Jun were appointed. The Daehakyeonuibo (大學衍義補) presented by Gu Jun was accepted, and the national finances were strengthened by accepting the reform plans of Ma Wensheng. It was natural that there was no room for the Eomsung to dig into the center during that time.

 

After Emperor Wujong, Emperor Jingdeok (武宗, 正德帝), Emperor Sejong, Emperor Jiajing (世宗, 嘉靖帝) ascended to the throne. Emperor Sejong was the grandson of Emperor Heonjong, Emperor Seonghwa, and the second son of Emperor Heungheon, Ju Woo-won. Originally, he had no connection to the throne, but his older brother, Emperor Ju Hou-hui, died five days after birth, and he inherited the title of Emperor Heungheon from his father. However, when his cousin Emperor Wujong, Emperor Jingdeok, died without an heir, he was proclaimed emperor and ascended to the throne. Emperor Sejong, Emperor Jiajing, was not the son or younger brother of Emperor Jingdeok, but rather a cousin who came from a collateral line and ascended to the throne. Therefore, the question of who would succeed as emperor and how to treat his biological father, Emperor Hongheon, if he were to be adopted as the adopted son of Emperor Jingdeok, his cousin, or his uncle, Emperor Hongzhi, became a major issue. Of course, according to the <Zhu Xi Family Rituals>, there was a rule that the successor to the position of an emperor or king would become the son of his predecessor. Therefore, he would be in a position no different from the son of his predecessor. The officials of the Neo-Confucian system, including Yang Tinghua (楊廷和), who valued this principle of the <Zhu Xi Family Rituals>, made some compromises and insisted that instead of Emperor Zhengde, Hongzhi Emperor, who was his uncle, should be his adoptive father, and that Hyojong should be called Hwanggo (皇考), and his biological father, King Heungheon, should be called Hwangsukgo (皇叔考). Who would like to have their own father called their uncle because of the principle of the <Zhu Xi Family Rituals>?

 

Naturally, Sejong was uncomfortable with this, but the power of Neo-Confucian scholars was strong, and there were only a few high-ranking officials who took Sejong's side. Sejong had no choice but to agree to the argument that Hyojong should be called Hwanggo (皇考) and his biological father, King Heungheon, should be called Hwangbaekbu (황복부). However, at this time, a superhero-like person appeared to help Emperor Gajeong: Eom Sung (嚴嵩). Eom Sung urged Sejong to lock the palace and mobilize the royal guard, the Geumgun, to honor his father, King Heungheon, as emperor. Sejong complied and honored King Heungheon as emperor. The officials staged a large-scale siege outside the palace gate. Sejong, who wanted to honor his father as emperor, and Eom Sung argued that his biological father should be called Hwanggo and the Hongzhi Emperor should be called Hwangbaekbu (황백부). This led to a great debate in which the imperial faction and the government directly clashed. In the end, the royal guard and the general of the Imperial Guard, Gu Lan, who was in the position of the General of the Armed Forces, persuaded him to concentrate 150,000 defense forces from Hebei Province in Beijing. Empress Jiajing, who gained strength from this, pushed forward his own will and confirmed the posthumous title of Emperor Hongxian, while dismissing Yang Jeonghwa and others from office or executing them.

 

After this, Sejong imprisoned 190 of his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exiled the ringleaders, including Yang Jeonghwa, to the border. Officials of the 4th rank or higher were demoted or deprived of their salaries, and officials of the 5th rank or lower were punished with long punishments. Sixteen low-ranking officials were executed after failing to survive the torture. After three years of debate, the meaning of this ceremony was accepted as Emperor Jiajing wanted, and Emperor Hyojong Hongzhi was called Hwangbaekgo and Empress Dowager Zhang was called Hwangbaekmo.

 

Due to his contribution to this incident, Eom Sung was promoted to Minister of Rites and entered the central government in earnest. Sejong attempted to reform politics to some extent in the early days of his reign, but later became absorbed in Taoism, and even built altars in the palace and invited immortals, disrupting the laws of the Ming Dynasty. Sejong's actions naturally led to his lack of interest in the court affairs. In particular, Eom Sung (嚴嵩) was better at writing ceremonial orations than others, so he was favored by Sejong, a devout Taoist believer, and was promoted to the position of Naegak Daehaksa (內閣大學士). Afterwards, he was promoted repeatedly to the position of Subo (首輔) of the cabinet, that is, the prime minister. Afterwards, Sejong's love for Taoism grew even more intense, and he became absorbed in the idea of ​​immortality (不老不死). He spent a lot of time and taxes from the people just making elixirs. He also sent people to various places in search of the false elixir of immortality. Even Eom Sung advised Sejong that in order to make an elixir of immortality, the first menstrual blood of palace maids aged 12 to 14 should be coagulated to make a gyeongdan. As a result, the young palace maids were captured and forced to do beastly things, such as having their menstrual fluids collected.

 

Sixteen of the palace maids, including Yang Geum-yeong and Hyeong Chu-ryeon, plotted to kill Sejong. These palace maids were aged 12 to 14 and were victims of Sejong's crazy behavior. In the winter of 1542, when Sejong was sleeping in the palace of Queen Danbi (端妃) Jo (曹氏), these palace maids tried to strangle him while he was asleep. It was Empress Bang (方氏) who saved Sejong from being strangled. In this incident, 16 court ladies including Yang Geum-yeong were executed by being torn to pieces and severely beaten, and Lady Danbi Jo was accused of not noticing the 16 court ladies infiltrating, and Lady Yeongbi Wang, who was in charge of supervising these 16 court ladies, was also executed by order of Empress Bang for failing to control them. This incident is called the Im-in Palace Incident.

 

Sejong was known to be a very capricious and violent person. The first empress, Lady Jin, was kicked by the king for being jealous and died along with her unborn son. The second empress, Lady Jang, was deposed for not taking the elixir made by Emperor Jiajing himself and died in the cold palace. And regarding the third empress, Lady Bang, he held a grudge against her for having killed his favorite queen, Lady Wang, during the Imjin Palace Incident. A few years later, when a fire broke out in the Gonyeong Palace where the empress resided, King Sejong simply watched and did not rescue her. In the end, Lady Bang, who had been Sejong’s “lifesaver” during the Imjin Palace Incident, was burned to death by King Sejong, whom she had saved.

 

King Sejong’s reckless behavior continued after that. In 1556, a major earthquake occurred in Shanxi Province, which ranked second in natural disaster damage. At the time, there were many coal mines in the Shanxi region, but the earthquake preparedness measures were insufficient, and the officials’ response was inadequate. King Sejong had no interest in the issue at all. In particular, Eom Sung and his son Eom Se-beon stole relief supplies and added them to their own property list.

 

Because of these parts, even when the aftershocks occurred later, the damage was even greater, and even though there were a huge number of refugees, the local government treated these refugees as beggars and expelled them. These complaints eventually gathered together and resulted in active cooperation in Bobai's Rebellion when Bobai, a Tatar mercenary, rebelled in the Ningxia region of Gansu Province during the reign of Emperor Shenzong of the Wanli Dynasty.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 macmaca 2024/11/21 [23:56] 수정 | 삭제
  • 성리학(주자학)을 비판하기 위한 글들을 보게됩니다. 도교와 불교를 배척한 성리학이라 막부시대에 불교국가 된 일본이 유교나라도 아니면서, 성리학을 왜곡시켜서 꾸며낸 글들이 다시 횡행하여 안타깝습니다. 유교는 백성을 배불리 먹이고, 일자리를 주고, 환과고독같은 의지할 데 없는 처량한 사람들도 두루 살피며 수천년을 이어왔습니다. 부국강병은 국력에 맞게 하면됩니다. 성급하게 백성의 고혈을 짜서, 국가가 부강해지고 군사력을 키우기 이전에, 백성들의 경제력이 향상되면, 당연히 세금부과에 대한 저항도 줄어들고, 순탄한 세수증대로, 국력에 맞는 부국강병이 실현될것입니다. 부국강병에 대한 성리학의 관학파 입장은 교과서적으로 이렇습니다. 성리학의 정착 조선 건국의 사상적 기반으로 성리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신진 사대부 사이에서 입장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관학파는 대내외적 모순을 극복하고 왕조 교체에 따른 문물제도의 정비와 부국 강병을 추진하였다. 대표적 인물로는 정도전·권근 등이 있었고 성리학 이외의 다른 사상도 포용하였으며, 주례를 국가 통치 이념화하였다. 반면에 사학파는 정몽주·길재의 학풍을 계승하며 성종 때 본격적으로 진출하였다. 교화에 의한 통치를 강조했고, 성리학적 명분론을 중시 하였으며 공신과 외척의 비리와 횡포를 비판하였다. 이들은 성리학적 이념과 제도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출처:성리학의 정착 및 성리학의 융성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