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5.18’ 이름에 대한 논란...“‘민중항쟁’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조한규 언론인 | 기사입력 2024/11/08 [08:20]

5.18의 이름에 대한 논란이 있다. 원래 박석무 이사장은 ‘광주의거’, 황석영 작가는 ‘광주5월 민중항쟁’의 이름을 사용했다. 반면 전두환 신군부는 ‘광주사태’라고 했다. 그리고 신군부가 중심이 된 민정당을 계승한 민자당은 ‘광주민주화운동’이라고 했고, 평민당은 ‘5.18광주의거’로 불렀다. 물론 진보 진영의 일부 학자들은 ‘광주학살’로 표현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1995년 제정된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에서 ‘5.18민주화운동’이란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이 정부가 사용하는 공식적인 언어가 됐다.

 

▲1980년 5.18 광주 민중항쟁에서 희생된 광주 시민.     ©브레이크뉴스 자료사진

 

이와 관련, 헌법학자인 김욱 전 서남대교수는 ‘아주 낯선 상식’에서 “민주화운동은 적대적 대립을 필연적으로 내포하는 개념도 아니고, 광주에서 벌어진 학살의 그림자도 찾을 수가 없다”고 개탄했다. 김 전 교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선호했던 ‘광주 의거’에 대해 “정의라는 개념이 눈에 띄지만 맞서 싸운다는 느낌은 적다. 5.18 관련 단체가 많이 사용하는 ‘항쟁’은 ‘맞서 싸움’으로 풀이된다. 그나마 ‘민중항쟁’ 혹은 ‘민주항쟁’이라면 5.18의 실체에 조금 다가선 느낌은 든다”라고 말했다. 나 역시 황 작가가 사용했던 ‘민중항쟁’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이 글에서 ‘5.18민중항쟁’을 사용한 것이다.

 

5.18민중항쟁은 동학농민혁명, 3.1운동, 4.19혁명을 계승하며, 6월 항쟁과 촛불혁명의 밑거름이 됐다. 죽음을 무릅쓰고 민주-인권-평화의 가치를 지킨 세계사의 유례가 없는 민주화운동이자 민주혁명이다. 유네스코가 2011년 5월 25일 5.18민중항쟁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한 것도 그 역사적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 5.18기념재단이 5.18민중항쟁을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재 5.18기념재단은 ‘5·18민주화운동’이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 새벽까지 열흘 동안, 전두환을 정점으로 한 당시 신군부 세력과 미군의 지휘를 받은 계엄군의 진압에 맞서 광주시민과 전남도민이 ‘비상계엄 철폐’, ‘유신세력 척결’ 등을 외치며 죽음을 무릅쓰고 민주주의 쟁취를 위해 항거한 역사적 사건이다. 항쟁 기간 중 22~26일 닷새 동안은 시민들의 자력으로 계엄군을 물리치고 광주를 해방구로 만들어 세계사에서 그 유래가 드문 자치공동체를 실현하기도 했다. 계엄군에 의해 진압당한 이후 5·18민주화운동은 한때 ‘북한의 사주에 의한 폭동’으로 매도당하기도 했으나 진상규명을 위한 끈질긴 투쟁으로 1996년에는 국가가 기념하는 민주화운동으로, 2001년에는 관련 피해자가 민주화 유공자로, 5·18묘지가 국립5·18 묘지로 승격되어 그 명예를 온전히 회복했다. 5·18민주화운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분수령이 되는 1987년 6월 항쟁의 동력이 되어 민주주의 쟁취와 인권회복으로 이어졌다.”

 

김욱 전 교수는 ‘아주 낯선 상식’에서 5.18민중항쟁을 4단계로 나눠 설명했다. 그의 주장은 5.18민중항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980년 5월 18일-27일에 광주 일원에서 벌어진 사건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5월 18일부터 21일 발포 전까지 자행된 학살 단계다. 2단계는 21일 반란군의 발포 이후 시민군이 반란군을 몰아내고 도청을 함락한 하루 동안의 무장 항쟁단계다. 3단계는 22일-26일까지 광주의 완전 봉쇄 속에서 피어난 ‘절대공동체’ 단계다. 4단계는 27일 도청을 사수하고 최후의 결전을 벌인 순교단계다.”

 

첫째, 김욱 전 교수가 강조한 단계는 1단계다. “누구라도 이 1단계를 이해하지 못하면 왜 5.18이 특수한 역사적 사건인지를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단언컨대 5.18의 특수성은 발포가 아닌 발포 전의 잔혹한 학살 단계에 있다. 5월 19일 광주에 들어가 전 세계에 기적적으로 광주의 진실을 알렸던 독일 공영방송(NDR.ARD TV) 도쿄 특파원 카메라 기자 위르겐 힌즈페터(Jurgen Hinzpeter)는 ‘내 생애에서 한번도, 심지어 베트남전쟁에서 종군기자로 활동할 때도 이렇듯 비참한 광경을 본 적이 없었다. 가슴이 너무 꽉 막혀서 사진 찍는 것을 잠시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고 증언했다.”

 

“전두환, 정호용 등 반란을 일으킨 영남패권 군부가 호남 양민 학살을 통해 권력을 훔친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객관적 사실이다. 당시 공수부대 장교가 ‘전라도 새끼들 40만은 전부 없애버려도 끄덕 없다’는 대화를 아무렇지도 않게 지껄일 정도면 당시 광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진 건지 알고도 남는 일 아닌가?”

 

둘째, 발포와 무장항쟁의 2단계는 반란을 꿈꾸는 미래의 반란군들에게 큰 경종이 될 것이라고 김 전 교수는 주장했다. 최근의 ‘쿠데타적 계엄령 의혹’과 관련해 야권의 의혹 제기대로 그런 세력이 있다면, 그들은 다시 한번 되돌아봐야 할 대목이다.  

 

“만약 광주의 시민들이 학살을 당하는 것으로 끝났다면 전두환 세력은 1987년 6월항쟁을 그런 식으로 마무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광주의 무장 항쟁이 1987년 6월 항쟁을 무혈 승리하게 만든 가장 큰 원동력이었다고 생각한다.”

 

셋째, 김욱 전 교수는 최정운 교수가 ‘오월의 사회과학’에서 주장했던 ‘절대공동체’를 인용하며 ‘전 세계의 역사를 통틀어서도 보기 힘든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이 경이로운 신세계에 놀란 미국 웬트워스 공대 교수 조지 카치아피카스(George Katsiaficas)는 ‘1980년 5월 광주5.18이 파리코뮨보다 세계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이 더 크다’고 강조할 정도다.”

 

넷째, 4단계인 5.18의 최후는 죽은 자에게는 순교의 순간이었고, 살아남은 자에게는 죄의식의 근원이 되었다고 김욱 전 교수는 주장한다.

 

“도청의 순교자들은 그렇게 어항 밖에 내던져진 금붕어처럼 팔딱거리며 죽어갔고, 시민들은 그 희생양들에게 씻을 수 없는 죄의식을 느끼며 살아가야 할 운명이 됐다. 하지만 그들 순교자들로 인해 광주는 부활할 수 있었다. 그 부활로 인해 광주는 역사 속에서 영원히 자긍심을 느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다. 2024년 10월과 11월 광주는 부활하고 있었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이 기폭제가 됐다. KIA타이거즈의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12승, 이에 따른 기아 전 직원에 대한 상여금 2천5백만원 지급, 기아차 사상 최대 매출 기록, 우승기념 5천대 최대 12% 할인 행사 등등. 최근 광주의 저녁 거리에는 활기가 넘쳐나고 있었다고 한다.

 

▲ 필자/조한규 언론인.  ©브레이크뉴스

5.18유공자는 사망 및 행불자 181명, 부상자 2,762명, 기타 희생자 1,472명 등 총 4,415명이다. 하지만 아직 이들의 완전한 신원(伸寃)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래서 5.18민중항쟁은 현재진행형이다. 그리고 마침내 ‘소년이 온다’로 신원이 시작됐다. 광주 시내 곳곳에 걸려 있는 ‘한강 작가 노벨상 수상을 축하합니다’는 플래카드로만은 부족하다. 광주는 이번을 계기로 진정하고 완전한 신원을 위해 보다 성숙된 그 무엇인가를 해야 할 것이다.

 

*필자/조한규 언론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ontroversy over the name '5.18'... "I think 'People's Uprising' is appropriate!"

-Journalist Cho Han-gyu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name of 5.18. Originally, Chairman Park Seok-mu used the name 'Gwangju Uprising' and writer Hwang Seok-young used the name 'Gwangju May People's Uprising'. On the other hand, the new military regime under Chun Doo-hwan called it 'Gwangju Incident'. And the Democratic Liberal Party, which succeeded the Democratic Justice Party centered around the new military regime, called it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hile the Democratic Party called it '5.18 Gwangju Uprising'. Of course, some scholars in the progressive camp also called it 'Gwangju Massacre'. Then, in 1995, the 'Special Act o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etc.' was enacted, and the nam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used, making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official term used by the government.

In relation to this, former professor Kim Wook of Seonam University and constitutional scholar lamented in “Very Unfamiliar Common Sense” that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s not a concept that necessarily includes hostile confrontation, and there is no shadow of the massacre that occurred in Gwangju.” Regarding the “Gwangju Uprising” favored by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former professor Kim said, “The concept of justice stands out, but it doesn’t give the impression of fighting back. The term “uprising” that is often used by groups related to May 18 is interpreted as “fighting back.” If it is “people’s uprising” or “democracy uprising,” it feels like we are getting a little closer to the true nature of May 18.” I also think that the term “people’s uprising” that author Hwang used is appropriate. That is why I used the term “May 18 People’s Uprising” in this article.

The May 18 People’s Uprising succeed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April 19 Revolution, and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June Struggle and the Candlelight Revolution. It is an unprecedented democratic movement and democratic revolution in world history that risked death to protect the values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peace. UNESCO also valued its historical value when it registered the records of the May 18 People’s Uprising as a world documentary heritage on May 25, 2011.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summarized the May 18 People’s Uprising as follows. The May 18 Memorial Foundation currently uses the term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t is a historical event in which the citizens of Gwangju and South Jeolla Province risked their lives to fight for democracy against the suppression by the military junta at the time led by Chun Doo-hwan and the martial law army under the command of the US military, shouting for “abolition of martial law” and “elimination of the Yushin regime.” During the five days of the struggle, from the 22nd to the 26th, the citizens defeated the martial law army with their own strength and made Gwangju a liberated zone, realizing an autonomous community that is rare in world history. After being suppressed by the martial law army,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once criticized as a ‘riot instigated by North Korea’, but through persistent struggles to uncover the truth, in 1996 it was commemorated as a democratic movement commemorated by the state, and in 2001, the victims were promoted to be contributors to the democracy movement and the May 18th Cemetery was upgraded to the National May 18th Cemetery, fully restoring its honor.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June Struggle of 1987, which became a watershed moment for Korean democracy, and led to the achievement of democracy and the restoration of human rights.”

In his book ‘Very Unfamiliar Common Sense’, former professor Kim Wook divided the May 18th People’s Uprising into four stages and explained it. His argumen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May 18th People’s Uprising.

“The incident that occurred in Gwangju from May 18th to 27th, 198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 Stage 1 is the stage of massacre that took place from May 18th to the 21st before the shooting. Stage 2 is the stage of armed resistance that took place on the 21st after the rebels fired and the citizens’ army drove out the rebels and captured the city hall. Stage 3 is the stage of ‘absolute community’ that blossomed during the complete blockade of Gwangju from the 22nd to the 26th. Stage 4 is the stage of martyrdom that took place on the 27th after defending the city hall and engaging in the final battle.”

First, the stage that former Professor Kim Wook emphasized is Stage 1. He argued that “if anyone does not understand Stage 1, they will not be able to understand why May 18th is a special historical event.”

“I can say with certainty that the specialness of May 18th lies not in the shooting but in the brutal massacre before the shooting. Jurgen Hinzpeter, a Tokyo correspondent for the German public broadcaster (NDR.ARD TV), who entered Gwangju on May 19 and miraculously informed the world of the truth about Gwangju, testified, “I have never seen such a miserable sight in my life, not even when I was a war correspondent during the Vietnam War. My heart was so full that I had no choice but to stop taking pictures for a moment.”

“It is an objective fact that no one can deny that the Yeongnam hegemonic military, including Chun Doo-hwan and Jeong Ho-yong, stole power through the massacre of Honam civilians. If an airborne trooper at the time casually said, ‘We can kill all 400,000 Jeolla-do bastards without a second thought,’ then it must be obvious what happened in Gwangju at the time.”

Second, former Professor Kim argued that the second stage of the shooting and armed resistance would be a great warning to future rebels who dream of rebellion. In relation to the recent ‘suspected martial law coup’, if there is such a force as the opposition party has raised suspicions, they should take another look.

“If the citizens of Gwangju had ended with the massacre, I don’t think the Chun Doo-hwan regime would have ended the June 1987 Uprising that way. I think the armed uprising in Gwangju was the biggest driving force that led to the bloodless victory of the June 1987 Uprising.”

Third, former professor Kim Wook cited the ‘absolute community’ that Professor Choi Jeong-woon argued for in ‘Social Science of May’ and emphasized that it was ‘an event that is rare to see in the entire history of the world.’

“George Katsiaficas, a professor at Wentworth Institute of Technology in the United States, who was surprised by this wonderful new world, emphasized that ‘the impact of the Gwangju Uprising of May 18, 1980 on world democracy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Paris Commune.’”

Fourth, Professor Kim Wook argues that the final stage of the 5.18 incident, the fourth stage, was a moment of martyrdom for the dead and a source of guilt for the survivors.

“The martyrs of the wiretapping incident died like goldfish thrown out of a fishbowl, and the citizens were destined to live with an indelible sense of guilt toward those victims. However, thanks to those martyrs, Gwangju was able to be resurrected. Because of that resurrection, Gwangju was able to feel pride in history forever.”

Yes. In October and November 2024, Gwangju was being resurrected. Author Han Kang’s Nobel Prize award was the trigger. The KIA Tigers’ 12th win in the Korean Baseball League, the 25 million won bonus for all Kia employees, the highest sales record in Kia Motors’ history, a 12% discount event for 5,000 vehicles to commemorate the victory, etc. It is said that the evening streets of Gwangju were recently full of energy.

The number of 5.18 meritorious persons is 4,415, including 181 dead or missing persons, 2,762 injured persons, and 1,472 other victims. However, their complete reconciliation has not yet been achieved. That is why the 5.18 popular uprising is ongoing. And finally, the reconciliation began with ‘The Boy Comes.’ The placards hanging all over Gwangju that read ‘Congratulations to Writer Han Kang on His Nobel Prize’ are not enough. Gwangju should take this opportunity to do something more mature for a true and complete reconciliation.

 

*Author/Jo Han-gyu, Journalis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