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러시아 모스크바 창건자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돌고루키 이야기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08 [06:09]

▲필자/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모스크바 창건자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돌고루키(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Долгорукий)는 블라디미르 브세볼로도비치 모노마흐(Владимир Всеволодовича Мономаха)의 아들이다. 그러나 유리 돌고루키의 모친이 누구인지, 언제 태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논란이 많다. 그러나 1090년 혹은 1099년에 태어났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모두 확실하지 않다. 그리고 일부 학계에서는 블라디미르 모노마흐의 첫 번째 부인 기타 우에스섹스카야(Гита Уэссекская) 사이에서 태어났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두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아들인 안드레이 보골류프스키(Андрей Юрьевич Боголюбский)의 생년과 생일 등을 고려하여 이를 역으로 추적해 보기도 했지만 전에도 그랬듯이 지금까지도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는 출생 연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래서 흔히 유리 돌고루키의 출생 연도를 놓고 볼 때 대충 1090년대로 통칭하기도 한다.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돌고루키의 정식 이름은 유리 블라디미로비치(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이다. 이러한 이름의 의미는 블라디미르의 아들 유리(Юрий)라는 뜻으로 보인다. 블라디미르(Владимир)는 유리의 부친, 블라디미르 브세볼로도비치(Владимир Всеволодовичй)의 이름에서 유래된다. 이는 초기에 루스 인들은 본인의 이름과 아버지의 이름을 결합해 자신의 이름을 만들었던 풍속이 있었기 때문에 보통 부친이나 가문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성(姓)은 장성한 20세 이후에야 만들어졌다. 유리 블라디미로비치가 활동하던 시기에 루스 인에게는 성이 없었다. 돌고루키는 그의 이름이 아닌 따로 불린 별칭이었고, 별칭이 결국 유리 돌고루키 집안의 성으로 굳혀지게 되었다. 본래 유리 돌고루키는 오늘날 로스토프 벨리키(Ростов Великий)라고 부르는 곳과 수즈달 지역을 통치하는 공후였다. 그러나 그가 언제부터 로스토프-수즈달(Ростов-Суздаль)의 공후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1096년 혹은 1113년부터 1149년까지 로스토프-수즈달의 공후였다고 말하고 있는데, 시작 연도가 명확하지 않은 것은 그의 출생 연도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인 것도 있다. 그리고 1090년대 출생인 것을 보면 그가 아주 어렸을 때부터 로스토프-수즈달의 공후였다는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 유리 돌고루키는 로스토프-수즈달의 공후였다가 1149년과 1151년 두 번에 걸쳐 키예프의 공후를 역임했다. 이처럼 여러 공후 지위가 바뀐 이유는 조카인 이쟈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Изяслав Мстиславич)와 키예프 공후 자리를 두고 극도의 쟁탈전을 벌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는 1147년 오늘날 러시아의 수도인 모스크바를 창건한 인물이기도 하다.

 

돌고루키라는 의미는 러시아어 그대로 ‘팔이 길다(Длинная рука)’ 라는 뜻으로 긴 팔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하지만 정말 팔이 길었기 때문에 유리 블라디미로비치가 돌고루키라는 별칭을 얻은 것은 아니다. 러시아에서 팔이 길다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첫 번째 의미는 활발하고 왕성한 활동을 하는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유리 돌고루키는 로스토프-수즈달의 공후로서, 주변의 여러 공국들을 정복하고 자신의 영토와 세력을 확장한 인물이다. 그 정도로 활발하게 활동했다는 의미이고 동서로 긴 영토를 확보했다는 의미이기도 한다. 두 번째 의미는 욕심이 많은 자라는 것이다. 좀 더 많은 영토를 소유하기 위해 타 영주들의 영지를 침략하여 정복하던 돌고루키의 모습이 나타나는 대목이다. 

 

위와 같이 러시아에서 돌고루키라는 말은 긍정과 부정적인 의미가 동시에 내포되어 있으며 유리 블라디미로비치의 행적들로 볼 때 그가 왜 돌고루키라는 별칭을 얻었는지에 대해 짐작할 수 있다. 유리 돌고루키는 어린 시절부터 활발한 대외 정복활동을 펼쳤다. 특히 유리 돌고루키는 형제들 간의 영지 세습과 새로운 지역을 개척하는 일에 관심이 많았고, 키예프의 공후가 되기 위해 여러 정복 활동과 형제들과의 관계 개선에 노력을 기울였다. 유리 돌고루키가 키예프의 공후가 되기 위해 가장 관심을 가진 곳은 페레야슬라블 시(市)였다. 물론 유리 돌고루키의 궁극적인 목표는 키예프의 공후가 되는 것이었고 페레야슬라블의 공후는 키예프의 공후가 되기 위한 전초적인 직위였다. 이에 단지 젊은 시절에는 자신이 키예프의 공후가 되려는 야심을 공개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을 뿐이었다.

 

유리 돌고루키는 키예프 루스의 권력 계승 원칙(Rota system)에 의하면 자신의 아들에게도 키예프 루스의 군주가 될 기회가 부여된다면 조카인 이쟈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가 키예프의 공후가 되는 것에 반대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돌고루키의 제안을 이쟈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는 거부했다. 이는 돌고루키가 키예프 공후 지위를 노리기 위한 계책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유리 돌고루키는 군사를 이끌고 공격에 나서 조카가 통치하던 키예프를 점령한 후 잠시 그곳의 공후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아들을 페레야슬라블 공국의 공후에 임명하게 되면서 통치를 맡겼다. 돌고루키는 얼마 후 키예프에서 철수했으나 이쟈슬라프와의 전쟁은 끝나지 않고 지속되었다. 

 

1151년 이쟈슬라프와 다시 한 번 전투를 벌인 돌고루키는 전쟁에서 패해 키예프와 페레야슬라블 두 지역을 모두 상실하고 말았다. 그러나 1154년 이쟈슬라프가 갑자기 사망하자 돌고루키는 자신의 오랜 숙원이었던 키예프의 공후가 되었다. 동시에 그의 아들 글렙(Glep)을 페레야슬라블 공후로 임명했다. 1155년에는 이복형제인 므스티슬라프 자손들이 독점하던 노브고로드의 공후 지위에 아들 므스티슬라프 유리예비치(Мстислав Юрьевич)를 임명함으로써 므스티슬라프 후손들의 본거지인 수즈달을 포함하여 키예프, 페레야슬라블, 투로프, 노브고로드를 돌고루키의 직계가족들이 통치하게 된다. 이로써 비록 길지 않은 시기였지만 1157년 유리 돌고루키가 사망하기 직전까지 유리 돌고루키와 그의 아들들은 전체 키예프 루스를 통치한 셈이 되었다. 이는 유리 돌로루키가 정복욕이 많다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통해 아들들 전 지역으로 분포시켜 전체 러시아를 통치한 사실에서도 잘 드러난다.

 

유리 돌고루키와 관련되어 회자되는 부분은 모스크바의 탄생에 관한 기록이다. 현재 러시아의 수도이자 러시아의 중세와 현대를 상징하는 모스크바가 언제 만들어졌는지, 명칭은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에 대해서 아직까지도 논란이 많다. 러시아에서는 모스크바의 기원에 대해서 다음의 몇 가지가 신화로 전해지고 있다. 모스크바는 노아의 후예로 알려진 모소흐(Mosoh)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모소흐 공후는 오늘날 쉬비바야 고르카(Shibibaya Gorka)로 알려진 작은 언덕에 작은 마을을 건설해 그 곳에 정착했다고 전해진다. 모소흐의 아내는 크바(Kba)라는 여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둘 사이에는 아들 야(Ya)와 딸 부자(Buza)가 있었는데, 이들 가족들의 이름이 서로 결합하여 모스크바(Moskva)와 야우자(Yauza)라는 명칭이 생겼다. 야우자는 모스크바를 흐르는 강들 가운데 모스크바 강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강 이름으로 지금 현재에도 존재하고 있다. 

 

두 번째 전설에 의하면 키예프 공국 시절에 부콜(Bucol)이라는 이름을 가진 성직자가 보로비츠키(Borovicky) 언덕 위에 위치한 작은 수도원에서 은둔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곳은 오늘 날 모스크바의 크레믈린이 있는 곳이었다. 어느 날 부콜은 그가 살고 있는 자리에서 모스크바의 도시가 발생할 것이라는 꿈을 꾸게 된다. 그의 꿈속에서 모스크바는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적들의 공격과 화재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결국 주변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가 되었다. 해괴한 꿈을 꾼 부콜은 은둔 생활을 접고 주변 지역으로 여행을 떠나 코시노(Kosino) 마을에 도착해 그 곳에 거주하던 성직자에게 자신의 꿈 이야기를 전했다. 그리고 부콜은 교회 안에 들어가 성직자와 함께 모스크바의 미래를 위해 기도하기 시작했다. 

 

그 때 성모 마리아가 그들 앞에 나타났고, 이후로 점차 땅 아래로 가라앉기 시작한 교회에 물이 솟아올라 호수가 만들어졌다. 그 결과 오늘날까지도 호수 밑 땅 속에 살고 있는 부콜과 성직자 그 두 명은 모스크바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들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세 번째 신화는 로스토프-수즈달의 공후인 유리 돌고루키와 관련되어 있다. 돌고루키가 로스토프-수즈달의 공후로 있을 때, 울창한 산림으로 덮여 광활한 평원이었던 모스크바 지역은 귀족인 스테판 쿠츠카(Stepan Kuska)가 통치하고 있었다. 어느 날 스테판 쿠츠카의 초대를 받아 방문한 돌고루키는 갑자기 쿠츠카에게 매우 격노해 그를 죽이라고 명령했고 쿠츠카를 죽인 이후에 쿠츠카가 소유하고 있던 영지를 차지했다. 연대기에 기록된 모스크바의 옛 명칭은 쿠츠코보(Kuckovo)인데, 이러한 명칭은 쿠츠카의 영지라는 뜻이다. 

 

스테판 쿠츠카의 영지를 차지한 돌고루키는 그 자리에 모스크바를 건설했는데, 그날이 1147년 4월 4일이다. 이 날 유리 돌고루키는 그의 형제이자 노브로고드-세베르스키(Novrogod-Severski)의 공후였던 스뱌토슬라프 올고비치(Sviatoslav Olgovic)에게 “형제여! 내게로 오라, 내가 있는 모스크바로 오라.”라는 말로 초대했다고 한다. 이 때 모스크바라는 명칭이 역사에 처음으로 등장했기 때문에 이 날은 러시아 연대기에서 공식적으로 모스크바의 창건일로 기록되어 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tory of Yuri Vladimirovich Dolgoruky, the founder of Moscow, Russia

 

- Columnist Gil-seon Jeong

 

Yuri Vladimirovich Dolgoruky, the founder of Moscow, is the son of Vladimir Vsevolodovich Monomakh. However,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over who Yuri Dolgoruky's mother was and when he was born. Some say he was born in 1090 or 1099, but neither is certain. And some academic circles are not sure whether he was born from Vladimir Monomakh's first wife, Gita Uessekskaia.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he was born from his second wife. And considering the birth year and birthday of his son, Andrei Bogolyubsky, they tried to trace it back, but as before, there is no birth year that is convincingly accepted even now. So, when we look at the birth year of Yuri Dolgoruky, it is often said that it is roughly around the 1090s.

 

Yuri Vladimirovich Dolgoruky's full name is Yuri Vladimirovich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The meaning of this name seems to be Yuri (Юрий), the son of Vladimir. Vladimir (Владимир) is derived from the name of Yuri's father, Vladimir Vsevolodovich (Владимир Всеволодовичй). This is because in the early days, the Rus had a custom of combining their own name and their father's name to create their own name, so they usually took their father's or family name. Surnames were created only after they reached adulthood and were 20 years old. During the time Yuri Vladimirovich was active, the Rus did not have surnames. Dolgoruky was not his name, but a nickname, and this nickname eventually became the surname of the Yuri Dolgoruky family. Originally, Yuri Dolgoruky was the prince who ruled what is now called Rostov Velikiy (Ростов Великий) and the Suzdal region. However, it is not clear when he became the prince of Rostov-Suzdal (Ростов-Суздаль). It is said that he was the prince of Rostov-Suzdal from 1096 or from 1113 to 1149, but the starting year is unclear because his year of birth is not certain. Also, considering that he was born in the 1090s, it seems certain that he was the prince of Rostov-Suzdal from a very young age. Yuri Dolgoruky was the prince of Rostov-Suzdal and then the prince of Kiev twice, in 1149 and 1151. The reason for these changes in the princely positions was the fierce competition for the position of the prince of Kiev with his nephew, Izyaslav Mstislavich (Изяслав Мстиславич). In addition, he is the person who founded Moscow, the capital of present-day Russia, in 1147. The meaning of Dolgoruky is literally ‘long-armed (Длинная рука)’ in Russian, referring to a person with long arms. However, it is not because of his long arms that Yuri Vladimirovich was nicknamed Dolgoruky. In Russia, the term ‘long-armed’ has two meanings. The first meaning is that he is an active and energetic person. Yuri Dolgoruky was the Prince of Rostov-Suzdal, and he conquered several principalities around him and expanded his territory and power. It means that he was very active and secured a long territory from east to west. The second meaning is that he is a greedy person. This is the part where Dolgoruky invades and conquers other lords’ territories in order to own more territory.

 

As above, the term Dolgoruky in Russia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s, and based on Yuri Vladimirovich’s actions, we can guess why he was nicknamed Dolgoruky. Yuri Dolgoruky was actively engaged in foreign conquests since childhood. In particular, Yuri Dolgoruky was interested in the inheritance of lands between his brothers and the development of new regions, and he worked hard to improve his relationship with his brothers and to become the Prince of Kiev. The place that Yuri Dolgoruky was most interested in in order to become the Prince of Kiev was the city of Pereyaslavl. Of course, Yuri Dolgoruky's ultimate goal was to become the Prince of Kiev, and the Prince of Pereyaslavl was a preliminary position to become the Prince of Kiev. Therefore, he did not openly express his ambition to become the Prince of Kiev during his youth. According to the Rota system of Kievan Rus' succession to power, Yuri Dolgoruky expressed his intention not to oppose his nephew Izyaslav Mstislavich becoming the Prince of Kiev if his son was also given the opportunity to become the monarch of Kievan Rus. However, Izyaslav Mstislavich rejected Dolgoruky's proposal. This was because he knew that Dolgoruky was trying to seize the princely position of Kiev. Yuri Dolgoruky led an army to attack and took Kiev, which was ruled by his nephew, and briefly became the prince there. He then appointed his son as the prince of Pereyaslavl and entrusted him with the rule. Dolgoruky withdrew from Kiev shortly thereafter, but the war with Izyaslav continued. In 1151, Dolgoruky fought Izyaslav again and was defeated, losing both Kiev and Pereyaslavl. However, when Izyaslav died suddenly in 1154, Dolgoruky became the prince of Kiev, which he had long desired. At the same time, he appointed his son Glep as the prince of Pereyaslavl. In 1155, by appointing his son Mstislav Yuryevich (Мстислав Юрьевич) as the prince of Novgorod, which was monopolized by his half-brother Mstislav's descendants, the direct family of Dolgoruky came to rule Kiev, Pereyaslavl, Turov, and Novgorod, including Suzdal, the home of Mstislav's descendants. As a result, although it was not a long period, Yuri Dolgoruky and his sons ruled the entire Kievan Rus until just before his death in 1157. This shows that Yuri Dolgoruky had a strong desire for conquest, and the fact that he distributed his sons to all regions and ruled all of Russia through this situation is also evident.

 

The part that is recalled in connection with Yuri Dolgoruky is the record of the birth of Moscow.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about when Moscow, the current capital of Russia and a symbol of the Middle Ages and modern times of Russia, was founded and where its name came from. In Russia, there are several myths about the origin of Moscow. Moscow is said to have been founded by Mosoh, a descendant of Noah. Prince Mosoh is said to have settled in a small village on a small hill known today as Shibibaya Gorka. Mosoh's wife is said to have been a woman named Kba, and they had a son Ya and a daughter Buza, and the names of these families combined to form the names Moskva and Yauza. Yauza is the second largest river in Moscow after the Moskva River and still exists today.

 

According to the second legend, during the Kievan Rus' period, a priest named Bucol lived in seclusion in a small monastery on Borovicky Hill, where the Moscow Kremlin is today. One day, Bukol dreamed that the city of Moscow would arise where he lived. In his dream, Moscow suffered many hardships due to attacks from enemies and fires from outside, but eventually became the most famous city in the surrounding area. After having a strange dream, Bukol left his seclusion and traveled to the surrounding area, arriving at the village of Kosino and telling the priest who lived there about his dream. Then, Bukol entered the church and began to pray with the priest for the future of Moscow.

 

At that time, the Virgin Mary appeared before them, and the church, which had gradually started to sink below the ground, began to rise up and form a lake. As a result, it is said that even today, Bukol and the priest, who live underground under the lake, can hear everything that happens in Moscow.

 

The third myth is related to Yuri Dolgoruky, the prince of Rostov-Suzdal. When Dolgoruky was the prince of Rostov-Suzdal, the Moscow region, which was a vast plain covered with dense forests, was ruled by the nobleman Stepan Kuska. One day, Dolgoruky, who visited at the invitation of Stepan Kuska, suddenly became very angry with Kuska and ordered him to be killed. After killing Kuska, he took possession of the lands owned by Kuska. The old name of Moscow recorded in the chronicles is Kuckovo, which means the lands of Kuska.

 

Dolgoruky, who took possession of Stepan Kuska's lands, founded Moscow on that site on April 4, 1147. On that day, Yuri Dolgoruky said to his brother, Sviatoslav Olgovic, the prince of Novrogod-Severski, "Brother! It is said that he invited them with the words, “Come to me, come to Moscow where I am.” Since this was the first time the name Moscow appeared in history, this day is officially recorded in Russian chronicles as the founding day of Moscow. lukybaby7@gmail.com

 

*Author/ Jeong Gil-seon.

 

 

Novatopos member,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