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모스크바 트베리스까야에 푸쉬킨 카페라는 명물이 있다. 워낙 고풍스럽고 로마노프 시대 내부 건축의 진면모를 볼 수 있는 곳이라서 이곳이 명물이라는 것이다 .필자도 모스크바에 살았을 때 두 번 정도 가서 차 한 잔에 케잌 하나 먹으면서 그 분위기를 느끼기도 했는데 사실 비싼 레스토랑이자 카페이기 때문에 굳이 차 마시러 푸쉬킨까지 가지 않는다. 나는 자주 가는 뻬뜨로브까 보스꼬 카페가 있기 때문이다.
굳이 자주 안가는 곳이긴 한데 지난번 클럽하우스 집에서 세계여행 가이드 당시 모스크바를 주제로 했을 때 트베리스까야 소개하면서 명물인 이 카페를 소개하기 위해 들어가서 리뷰를 본 순간.. 많은 한국 여행자들이 왔다간 흔적이 보였다. 좋은 리뷰보다는 악평이 더 많았다. 그 중에 눈에 띄는게 인종차별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러시아에서 인종차별을 당했다는 것들은 매우 오랜만에 본다.
그러나 저 글 그대로 믿기도 어려운 부분이 있다. 코로나 전에는 한국 20대 젊은이들이 유럽이나 러시아 여행 많이 왔는데 걸핏하면 인종차별 받았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특히 유디니나 유랑, 여행에 미치다 등의 사이트에서 20대들이 인종차별이라고 느끼는 부분의 첫 번째가 자신을 중국인처럼 보거나 치나~키나~칭총쳉 그런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조금이라도 자신이 불친절한 느낌을 받으면 인종차별이라 주장하는 것이다.
나는 요즘 20대들, 성인이라 보기보다는 10대 아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20~25세 사이의 젊은 아이들은 10대와 별 다르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90년대나 2000년대의 20대들은 10대와 여러모로 차이가 있었다. 가치관이라던지, 뭔가 주도를 하는 것이 요즘 20대들하고 달랐다. 이상하게 10여년 차이가 나지만 요즘 20대들은 성인이라기보다는 그냥 10대 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왜냐면, 해외에서 그런 일을 겪을 경우, 분별력이 상당히 낮기 때문이다. 보통 인종차별이라는 것은, 백인이나 흑인 인종을 비교해 다른 유색인종을 비하하는 말을 하거나 그에 대한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세대의 해외 유학파들은 그런 행위들을 정면으로 다 받아낸 세대들이다. 피부색이 다르다 해서 영어나 러시아어로 비속어 섞인 언행들을 듣기도 했고 급한 일을 처리하려 하는데 고의로 지연시키며 은근 비웃는 얼굴도 심심치 않게 봤으며 심할 경우, 폭행을 당하기도 했다. 그런 인종차별에 비하면 치나~키나~칭총쳉 이런 것들은 인종차별도 아니다. 아시아 인종에 대해 무지한 유럽인들이 아시아 인종은 어쨌든 인구가 가장 많고 땅도 가장 넓은 중국이 유명하니 어디서 왔는지 물어보지 않는 이상 중국인으로 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그치만 그만큼 유럽인들이 무지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러시아는 예전에 스킨헤드가 있었다. 그게 90년대에서 2000년대 중후반까지 이어진 우리 세대의 얘기였다. 학생 중 누군가가 두들겨 맞았다고 하면 우리는 나오지도 못하고 꼼짝 없이 기숙사나 아파트 방에서 숨죽이며 지내야 했다. 머리 빡빡 깎고 검은 복장을 하며 팔이나 얼굴 부위 등에 문신이 새겨져 있는 현지인을 보면 일부러 다른 길을 선택해서 피해다녀야 했다. 지금은 그런 스킨헤드가 없어졌고 러시아에서 동양인을 바라보는 인식이 달라졌다. 이제는 러시아라는 넓은 국토에서 부리야트나 고려인 같은 연해주, 바이칼 측의 인종과 더불어 중앙아시아 인종까지 함께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더불어 같이 살아가야 할 사람들이라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스크바 같은 대도시에서 동양인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으며 어차피 같은 러시아인이면서 세금도 내고, 군대도 자원해서 가는 동질성을 가진 사람들이라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덕을 우리 같은 한국인들도 같이 누리고 있다. 특히 러시아인들의 한국인에 대한 인식은 동양인 중에서 가장 친숙한 국가의 사람들로 생각하고 있다. 오죽하면 팔도 도시락이 러시아인의 식도락의 부동의 1위를 하고 있으며 가장 인기 많은 폰이 삼성 폰이고 가전제품하면 LG가 인기가 많겠는가. 차도 현대, 기아, 대우 차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게다가 러시아에서의 한류는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 요즘에 한국인이 러시아에서 인종차별을 당한다는 것은 거의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어느 것이 인종차별인지 분별하지 못하는 요즘 아이들의 특성상 그걸 곧이곧대로 신뢰하기 어려운 이유다. 러시아 사람들 차갑고 불친절하다. 그러나 속정은 매우 깊은 사람들이고 친해지면 러시아 사람만큼 의리있는 사람들 없다. 오히려 친한척 다가와 뒤통수 칠 생각만 하는 한국인들보다 나은 현지인들이 수두룩하다. 그들이 차갑고 불친절한 이유는 소련 때 코미디 등을 금지한 일이 있었는데 이는 코미디 같은 것을 보고 웃는 것은 멍청한 미국이나 서구의 바보 같은 자들이나 하는 짓이라 하여 남에게 친절을 배풀어야 할 이유도 없는데 하는 것 자체가 미국이나 서방 문화를 따르는 것이라 진정한 슬라브 문화는 쓸데없이 웃거나 친절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도층에서 가르쳤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제력이 붕괴되고 어려운 상황에 처하니 안 그래도 삶이 퍽퍽한 소련 인민들에게 웃음을 찾아볼 수 없었던 이유도 한 몫했다.
러시아의 문화나 관습을 모르고 여행하면서 조금이라도 불친절을 당하면 인종차별이라 하면서 볼멘 소리하는 것은 애들이 투정부리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러시아의 문화나 관습, 그 역사 정도는 조금이라도 알고 러시아에 왔어야 하는것 아닌가. 그래서 내가 주는 팁은 러시아어를 몰라도 된다. 불친절을 당하면 그냥 미소를 지어줘라. 러시아 사람들은 처음에 무뚝뚝하지만 같은 사람에게 2~3번의 미소를 짓고 웃는 낯으로 뭔가 대화하는 척이라도 한다면 그 무뚝뚝함이 친절로 다가오게 된다. 그게 러시아 사람들과 친해지는 첫 번째 방법이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ussian culture and customs, and the perspectives of MZ generation travelers on defining racism
- Jeong Gil-seon, columnist
There is a famous place called Pushkin Cafe in Tverskaya, Moscow, Russia. It is so old-fashioned and you can see the true face of Romanov era interior architecture, so it is famous. When I lived in Moscow, I went there twice and enjoyed the atmosphere while having a cup of tea and a cake, but in fact, it is an expensive restaurant and cafe, so I don't necessarily go to Pushkin just to drink tea. That's because I have a cafe called Petrovka Bosko that I often go to.
It's not a place I go to often, but when I went to introduce this famous cafe while introducing Tverskaya during the last World Travel Guide on the Clubhouse, I saw that many Korean travelers had been there. There were more bad reviews than good ones. Among them, the one that stands out is the part about racism. It's been a long time since I've seen people experience racism in Russia.
However, there are some parts of the article that are hard to believe. Before COVID, many young Koreans in their 20s traveled to Europe or Russia, and they often complained about being discriminated against. In particular, on sites like Udinina, Yurang, and Travel Madness, the first thing that young people in their 20s feel is racism is that they are seen as Chinese or are called China~Kina~Chingchongcheng, and the second is that they claim it is racism if they feel even a little bit unfriendly. I think that young people in their 20s these day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eenagers rather than adults. In particular,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20 and 25 do not feel much different from teenagers. Young people in their 20s in the 90s and 2000s were different from teenagers in many ways. Their values and the way they took the lead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today. Strangely, there is a difference of about 10 years, but young people in their 20s these days feel more like teenagers than adults. This is because their discernment is considerably low when they experience such things overseas. Usually, racism refers to comparing white or black people to other colored people and making disparaging remarks or actions.
Our generation of overseas study abroad students are the generation that has directly endured such acts. We have heard profanity-laced language in English or Russian because of our skin color, and we have often seen faces that deliberately delay and subtly laugh at us when we are trying to handle urgent matters, and in severe cases, we have even been assaulted. Compared to such racism, things like China~Kina~Ching Chong Cheng are not even racism. Europeans who are ignorant of Asians may think of them as Chinese unless they ask where they are from, since China is famous for having the largest population and the largest land area. However, it also shows how ignorant Europeans are.
There used to be skinheads in Russia. That was the story of our generation from the 90s to the mid-2000s. If one of our students got beaten up, we couldn’t come out and had to stay in our dorms or apartments, hiding. When I saw locals with shaved heads, wearing black clothes, and tattoos on their arms or faces, I had to deliberately choose a different path to avoid them. Now, those skinheads have disappeared, and the perception of Asians in Russia has changed. Now, in the vast land of Russia, people from the Primorsky Krai and Baikal regions, as well as Central Asians, live together, so they are recognized as people with whom we must live together. Therefore, it is not difficult to see Asians in big cities like Moscow, and they are recognized as people with the same homogeneity, paying taxes and volunteering for the military. And Koreans like us are also enjoying this benefit. In particular, Russians think of Koreans as people from the most familiar country among Asians. No wonder Paldo Lunch Box is the undisputed number one food and drink in Russia, and the most popular phone is Samsung, and LG is popular when it comes to home appliances. Hyundai, Kia, and Daewoo cars are also popular enough to be seen easily. Furthermore, the Korean Wave in Russia goes without saying. In these days, it is almost impossible for Koreans to experience racism in Russia.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believe it outright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children who cannot tell what is racism. Russians are cold and unfriendly. However, they are very affectionate people, and once you become close to them, there is no one as loyal as Russians. Rather, there are many locals who are better than Koreans who pretend to be friendly and only think about hitting you in the back of the head. The reason they are cold and unfriendly is because during the Soviet Union, comedy and other things were banned, and it was said that only stupid Americans or Western fools would laugh at comedy, so there was no reason to be kind to others, but the leaders taught that doing so was following American or Western culture, and that true Slavic culture was not about laughing unnecessarily or being unfriendly. And the collapse of the economy and the difficult situation also played a part in the fact that the Soviet people, who were already living a hard life, could not find laughter.
Traveling without knowing Russian culture or customs and complaining that it is racism when you are treated even a little unkindly is not much different from children throwing a tantrum. Shouldn’t you have known at least a little bit about Russian culture, customs, and history before coming to Russia? So my tip is that you don’t have to know Russian. If you are treated unkindly, just smile. Russian people are blunt at first, but if you smile at the same person two or three times and pretend to have a conversation with a smiling face, that bluntness will come across as kindness. That is the first way to become close with Russian people. lukybaby7@gmail.com
*Author/ Jeong Gil-seon.
Novatopos member,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