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 귀환, 국제 질서 큰 변화 전망

한반도ㆍ중국ㆍ우크라이나ㆍ가자 등 새 질서 구축 가능성

권기식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1/07 [11:11]

▲ [웨스트팜비치=AP/뉴시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컨벤션 센터에서 대선 승리 연설을 하고 있다. 2024.11.06.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다시금 돌아왔다. 그는 지난 대선 패배 이후 수사와 기소 등 각종 어려움을 겪고도 이번 대선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미 전체 선거인단 538명 가운데 292명을 확보해 매직 넘버 270명을 훌쩍 넘긴 터라 남은 20명의 선거인단에 관계없이 승리를 확정지었다. 해리스 부통령은 패배를 인정하고 트럼프에게 축하전화를 했다. 트럼프는 선거인단 외에 일반 유권자 총투표에서도 51%를 얻어 해리스를 제쳤고, 공화당은 상원 다수당 탈환에 성공하면서 의회 권력도 장악하게 되었다. 트럼프는 1기 대통령 때 보다 더 강한 권력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2기의 국제 정세는 어떻게 될까? 많은 국가들이 트럼프의 귀환을 기대와 불안 속에서 지켜보고 있다. 조 바이든 정부와 강하게 밀착했던 국가들 일수록 초조한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 시대의 대외정책은 우크라이나ㆍ가자ㆍ한반도ㆍ중국 등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우크라이나 전쟁은 조기 종결로 가닥을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그에 동조해온 서방 국가들에게는 안타깝겠지만 트럼프 시대의 미국은 이념 보다 계산이 앞설 것이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사업가 출신이다. 미국의 돈으로 외국의 안보를 지켜주는 것은 미국의 국익에 반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트럼프 새 대통령은 대선 기간 우크라이나 전쟁과 가자전쟁 장기화를 조 바이든 행정부의 '실정'이라고 비판하면서 '내가 대통령이 되면 해결할 수 있다'고 공언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미국을 위시한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현재 방식, 즉 우크라이나에 대한 자금과 무기의 전폭적 지원으로는 전쟁을 끝낼 수 없고 이는 미국의 국익에도 손해라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문제의 해법은 바이든 정부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신속한 종전' 계획과 관련, J.D.밴스 부통령 당선인이 시사점을 준 바 있다. 밴스는 지난9월 션라이언쇼에 출연해 "트럼프는 당선되면 '평화적 해결'을 바라보며 크렘린궁과 우크라이나, 유럽 관계자들과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마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현재 경계선'이 될 것 같고, 러시아가 재침략하지 못하도록 강화된 비무장 지대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젤렌스키로서는 최악의 상황 전개일 것이다. 젤렌스키는 패싱당할 상황에 놓였다. 이는 뒤늦게 반러 정책을 펴온 한국의 윤석열 정부에도 큰 부담이 될 것이다.

 

가자지구의 문제는 이스라엘의 주도권을 인정하면서 조기 종전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스라엘 현지 언론에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가 네타냐후에게 '내가 당선되면 내년 1월 대통령 취임 전까지 가자지구 전쟁을 끝내길 바란다'고 말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 1기 기간 그가 이스라엘을 일방적으로 지원했던 만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정부의 강경 일변도 정책을 지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한반도 정세의 변화 가능성도 예상된다. 트럼프의 당선이 확정된 시점에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은 최악의 정치적 위기에 직면했다. 정치 브로커와의 국회의원 공천 관련 통화 녹음이 공개되면서 지지율은 곤두박질치고, 마침내 대국민 사과까지 하게 된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브로맨스를 강조하면서 조 바이든의 대북 압박정책에 적극 동조해왔다. 중국ㆍ북한ㆍ러시아와의 갈등을 무릅쓰고 한미일 전략 연대에 올인했다. 그러나 이제 판이 바뀌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선거기간 내내 강조했다. 그는 지난 7월 공화당 전당대회 대선 후보직 수락 연설에서는 "많은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누군가와 잘 지내는 것은 좋은 일"이라면서 "우리가 재집권하면 나는 그(김정은)와 잘 지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북한과의 '하노이 노딜'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냈다. 거의 합의에 이른 북미협상이 '배신자' 존 볼튼에 의해 깨졌다는 것이 트럼프의 인식이다. 트럼프는 북한과의 직접 협상을 통해 핵 문제를 포함한 북미 관계의 새로운 질서를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한국 외교는 패싱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가 주한미군 주둔비용을 연 100억달러까지 올리겠다고 공언한 만큼 방위비 협상에서의 갈등도 우려된다.

 

트럼프, 새로운 미 대통령 신시대의 대중(對中) 정책도 바이든 시대와 다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는 중국의 핵심 이익인 대만 정책에서 제한주의자라고 알려져있다. 일반적으로 매파 공화당원들은 대만이 중국에 대항할 수 있는 무력을 스스로 갖추고 미국이 이를 지원하기를 원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물리적 전쟁보다는 대중 관세 등 무역전쟁에 더 집중한다는 얘기다. 트럼프 새 대토령은 중국과의 관계에서 안보 갈등 보다는 경제적 이익 추구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필자/ 권기식 칼럼니스트.  ©브레이크뉴스

트럼프 미 대통령의 귀환은 미국 대외정책의 큰 변화를 불러올 것이다. 이념 보다는 경제적 실리가 우선될 것이다. 윤석열 정부의 대미(對美) 라인은 조 바이든에 집중되어 있다. 트럼프 2기의 대외정책에서 한국이 패싱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더욱이 윤석열 대통령이 국내 정치적으로 위기 국면인데다 임기 반환점을 돌아 국정 동력이 약화된 것도 대미 협상력을 약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정세의 변화 앞에 한국 외교는 무기력한 모습이다. kingkakwon@naver.com

 

*필자/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장.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rump returns as US president, major changes in international order expected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order in the Korean Peninsula, China, Ukraine, Gaza, etc.

- Kwon Ki-sik, columnist

 

Trump has returned as US president.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investigations and indictments since his defeat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he achieved a great victory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Former President Donald Trump has already secured 292 of the 538 electoral votes, far exceeding the magic number of 270, so he has secured victory regardless of the remaining 20 electoral votes. Vice President Harris conceded defeat and called Trump to congratulate him. In addition to the electoral college, Trump also won 51% of the popular vote, defeating Harris, and the Republican Party successfully regained the majority in the Senate, taking control of congressional power. Trump has returned with a stronger power than he did in his first term as president.

What will the international situation be like in Trump's second term? Many countries are watching Trump's return with anticipation and anxiety. Countries that were closely aligned with the Joe Biden administration are becoming more anxious.

Trump's foreign policy during the presidency is expected to focus on Ukraine, Gaza,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First, the Ukraine war is expected to end early. This may be unfortunate for Ukrainian President Zelensky and the Western countries that have supported him, but the United States in the Trump era will be more calculating than ideological. Trump is a businessman. He believes that protecting foreign security with American money is against America's national interests.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new President Trump criticized the prolongation of the Ukraine and Gaza wars as the "mismanagement" of the Joe Biden administration and declared, "I can solve it if I become president." Regarding the Ukraine war, he repeatedly emphasized that the current method of 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including the United States, namely, providing full financial and weapon support to Ukraine, cannot end the war and that this is also detrimental to America's national interests.

The solution to the Ukraine issue seems to be taking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Biden administration. Vice President-elect J.D. Vance has given some insight into the plan for a “rapid end” to the Ukraine war. Vance appeared on the Sean Ryan Show in September and said, “If elected, Trump will begin negotiations with the Kremlin, Ukraine, and European officials with a view to a “peaceful resolution.” He explained, “It will probably be the ‘current border’ between Russia and Ukraine, and a reinforced demilitarized zone to prevent a re-invasion by Russia.” This would be the worst possible development for Zelensky. Zelensky is in a position to be passed over. This will also be a huge burden for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in Korea, which has been belatedly pursuing an anti-Russian policy.

Regarding the Gaza Strip issue, it seems likely that they will recognize Israel’s leadership and induce an early end to the war. Recently, local Israeli media reported, citing an anonymous source, that "Trump told Netanyahu, 'If I am elected, I hope you will end the war in Gaza before I take office next January. '" Given that Trump unilaterally supported Israel during his first term, it is generally expected that he will support the hard-line policies of the Israeli government under Benjamin Netanyahu.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expected. At the time when Trump's election was confirmed, South Korean President Yoon Seok-yeol faced the worst political crisis. His approval rating plummeted after the recording of a phone call with a political broker regarding his nomination as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was released, and he ended up having to make a public apology. President Yoon Seok-yeol has actively supported Biden's policy of pressuring North Korea while emphasizing his bromance with President Joe Biden. He went all-in on the strategic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despite conflicts with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However, the tables have turned now.

US President Trump has emphasized his friendship with North Korean State Affairs Commission Chairman Kim Jong-un throughout the election period. In his acceptance speech for the Republican National Convention last July, he said, “It’s good to get along with someone who has a lot of nuclear weapons,” and “If we come back to power, I’ll get along with him (Kim Jong-un).” Trump expressed great regret over the “Hanoi no-deal” with North Korea. Trump’s perception is that the North Korea-US negotiations, which were almost agreed upon, were broken by the “traitor” John Bolton. Trump is expected to pursue a new order in North Korea-US relations, including the nuclear issue, through direct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In the end, South Korean diplomacy is likely to be passed over. Since Trump has pledged to increase the cost of stationing US troops in Korea to $10 billion per year, there are also concerns about conflicts in defense cost negotiations.

Trump, the new US president, is also expected to show a different side of his China policy in the new era than in the Biden era. Trump is known to be a restrictionist in his policy toward Taiwan, which is a key interest of China. Generally, hawkish Republicans want Taiwan to have its own military to counter China and for the United States to support it, but former President Trump is said to be more focused on a trade war, such as tariffs, than on a physical war. It is expected that the new president, Trump, will pursue economic interests rather than security conflicts in relations with China.

The return of President Trump will bring about a major change in US foreign policy. Economic interests will take precedence over ideology.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US policy line is focused on Joe Biden. There are concerns that Korea will likely be passed over in Trump’s second term’s foreign policy. Furthermore, President Yoon Seok-yeol is in a domestic political crisis and his national momentum has weakened as he approaches the halfway point of his term, which is likely to weaken his negotiating power with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s diplomacy appears helpless in the face of changes in the Korean Peninsula situation. kingkakwon@naver.com

 

*Author/Kwon Ki-sik

 

Chairman of the Korea-China City Friendship Association. Professor Emeritus at Seoul Media Graduate School.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