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 대선 개표 진행 중. ©뉴시스 |
미국 대선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로 끝났다. 각종 여론조사의 결과가 초박빙이라는 예상을 크게 벗어나서 트럼프의 승리가 확정되었다. 전체 선거인단 538명 중 절반인 270명을 넘어서 279명이 확보되면서 트럼프의 승리가 결정되었다. 해리스는 현재 223명을 확보했지만, 이미 패배는 결정된 것이나 다를 바는 없다. 이제 해리스에게 남은 것은 대선 패배를 인정하는 절차밖에 없다. 미국 대선에서 최초 여성 대통령이라는 타이틀은 아직 여전히 멀리 떨어져 있다. 클린턴 전 장관에 이어 해리스의 패배는 다시 한번 미국에서 최초 여성 대통령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사실 해리스는 민주당의 후보 교체라는 사실 초유의 상황에서 긴급하게 대선후보로 되면서, 선거운동 기간도 짧았고, 자신의 이미지를 일반 유권자들에게 각인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 현직 부통령이기는 했지만, 바이든 정부와 별다른 차별점이 부재했던 상황에서, 초반의 돌풍을 지속하는 데에 한계가 어느 정도 있었다. 이른바 ‘허니문’이 끝난 이후에 계속 지지율이 정체되었던 것이 이번 대선의 패배 원인 중 하나였던 셈이다. 해리스 선거 캠프에서 낙태 문제로 인한 ‘히든 해리스’를 기대했지만, 현재 미국의 물가 상승에 따른 경제문제가 집중적으로 부각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히든 해리스’는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특히 백인 여성이 이번에도 해리스에게 표를 던져주지 않았다. 이번 해리스의 대선 패배는 향후 민주당의 미래에 깊은 암운을 드리울 것이다. 상원과 하원에서도 공화당이 과반수로 의회 권력을 장악함으로써 트럼프는 각종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일 것이다.
전직 대통령이 4년 이후에 다시 백악관에 재입성했던 것도 매우 드문 일이지만, 대선 개표가 이처럼 빨리 결정된 것도 매우 기이한 일이다. 우선 트럼프가 승리할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인가? 사실 트럼프가 막말과 인신공격, 분열과 혐오를 조장하면서도 이를 자신의 이익으로, 승리로 가져올 수 있었던 까닭은 표를 결집하기 위해서 다소 무리수가 있더라도 이를 관철시키는 데에 매우 능숙하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자신이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시할 수 있으며, 각종 미국의 현안을 빨리 해결할 수 있다는 능력자임을 강조함으로써, 바이든 정부의 실정을 심판하고, 더 나아가 미국을 또다시 더 위대하게 할 수 있다고 선전했으며, 이것이 유권자들에게도 먹혔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지난 트럼프가 자신의 집권 시절에 제대로 실행하지 못했던 이유가 바이든 정권으로 교체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함으로써, 유권자들에게 자신의 집권 시절에 경제가 더 좋았다는 향수를 자극했던 것도 효과적이었다. 딱히 그렇다고 볼 수도 없는데, 현재 미국 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트럼프의 공약이 마치 바로 실행되면, 미국 경제가 좋아질 것이고, 그것이 유권자들 각자에게 이익으로 돌아오게 되는 것처럼 유권자들의 표심을 움직였다.
이에 반해 해리스는 중산층 부활을 주장하면서, 여러 공약을 제시했지만, 유권자들은 이를 바이든 정부와 차별점을 별로 인지하지 않았다. 오히려 트럼프는 이를 파고들면서, 해리스가 현재 부통령인데 바이든과 한 통 속이라고 몰아붙였고, 이것이 유권자들에게 각인되었다. 또 이민자들, 유색인종들에게도 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해리스의 이탈표가 대거 생기기 마련이다. 이들은 반드시 트럼프를 지지해서라기보다 해리스가 되어도 결국 별로 달라진 것이 없는데, 현 바이든 정부의 정책에 반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한 조사에 의하면 이 지지층에서 바이든보다 해리스의 지지율이 낮게 나왔다는 것은 이탈표가 민주당 선거 캠프에서 예측했던 것보다 더 많이 나왔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경합주에서는 이탈표가 해리스에겐 치명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트럼프는 코로나 사태에 직면해서 제대로 대응을 하지 못해 재선에서 바이든에게 패배했지만, 4년 만에 부활했다. 이렇게 된 것은 바이든 정부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는 이에 대한 앙갚음을 위해 4년이나 치밀한 준비를 했으며, 각종 사법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백악관에 재입성했다. 해리스는 나름대로 첫 대선이라는 선거판에 올라왔지만, 현실의 견고한 유리 천장을 뚫고 나가기에는 매우 역부족이었다. 해리스는 미래를 말했지만, 어찌 보면 미래 이전에 현실을 더 정확하고, 냉정하게 판단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방법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고민했어야 했다. 그렇다! 해리스가 내세운 낙태 문제가 오히려 대선판에서는 외연을 확장하는 데 발목을 잡았다. 낙태 문제가 여성의 권익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임에는 분명하지만, 플로리다, 사우스다코타, 네브래스카 등의 주에서는 낙태권에 대한 주 헌법 명기가 부결되면서 – 다른 주들에서는 가결이 되었지만 - 사실상 낙태권에 대한 주별 투표 결과가 갈리면서, 이들의 표가 해리스보다는 트럼프로 갔을 것이다. 물론 트럼프 제2기 정부에서도 이 문제가 또다시 떠오를 것은 분명하다.
해리스는 불법 이민자 문제에 관해서도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특히 갑작스러운 불법 이민자들의 급증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주에서는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이를 미국이 이민자들의 나라라고 하면서 마치 이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듯한 발언은 오히려 트럼프의 강경한 대응과 비교하면 유권자들에 지지를 받기 어렵다. 물론 트럼프처럼 불법 이민자들의 추방령과 같은 것은 아니더라도 해리스는 이에 대한 타당한 대안을 제시했어야 했다. 그렇지 못하다 보니 해당 주 유권자들의 불안감이 나타나고, 보수 성향의 미디어들이 앞다투어 집중적으로 이 문제를 다뤘고, 트럼프도 각종 막말과 정치적 공세로 이 문제를 부각했다. 특히 트럼프는 이들을 범죄자들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해리스는 이에 잘 대응하지 못했는데, 그 까닭은 가치·인권 등에 매몰되다 보니 현실적으로 문제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막말이나 거짓말로 해리스와 바이든을 공격하고 나서, 해리스가 이를 되받아치면, 트럼프는 이를 가짜 뉴스라고 간단히 묵살하고 오히려 지지층을 결집하는 데에 활용했다. 거기에는 보수 성향의 미디어들도 영향을 주었고, 일부 주류 언론들은 지난 대선과 달리 특정한 후보를 지지하지 않겠다는 다소 모호한 입장을 취하면서 사실상 해리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다. 해리스는 홍보와 광고에 트럼프보다 많은 자금을 동원했지만, 결국 문턱을 넘지 못하고 대선에서 패배했다.
그런데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서의 트럼프에게는 서광이 과연 제대로 비추어질 것인가? 반드시 그렇지 않을 것이다. 트럼프는 각종 현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공언했지만, 미국에 직면한 현안들이 그렇게 트럼프 방식으로 재임 기간 중 전부 해결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의회 권력에서도 공화당이 다수당이 되면서, 지난 트럼프 제1기 정부보다는 각종 정책에 속도가 붙을 것이다. 아마도 트럼프는 바이든 정부의 정책을 뒤집으면서 미국 내부에 갈등과 증오를 양산하고, 대외적으로 동맹국과의 갈등과 압박을 전면적으로 감행할 것이다. 거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트럼프는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는 어떤 수단이나 방법도 가리지 않을 태세다. 고립주의와 일방주의가 횡행하게 되면, 세계는 더욱 불안전해질 것이다. 세계 각국은 이제 트럼프 시대를 맞이해서 한층 더 치열하게 경쟁하게 될 것이다.
![]() ▲ 권기환 박사 ©브레이크뉴스 |
이와 반대로 트럼프가 제1기 정부와 다소 다르게 일단 크게 던져 놓고 구체적 단계로 들어가면서 거래적 관계로 나아갈 가능성도 있는데, 이것은 차후 정부 구성 인사들의 면모를 보면 가늠하게 될 것이다. 제1기 정부 시절에 트럼프가 장관들과 잦은 갈등이 정책에서 혼선이 빚어진 것을 고려하면, 이번에는 친정체제가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 자칫 의회에 익숙하지 않은 트럼프가 의회와 갈등이 불거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 트럼프는 바이든처럼 고령 리스크도 안고 있어서 더욱 그렇다. 물론 고령 리스크가 당장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차츰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이 문제가 공화당에서도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차기 대권을 노리는 인사들은 민주당의 선례에서 보았듯이 분명히 이 문제를 예의주시할 것이다.
*필자/권기환
철학박사. 동국대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지겐대 제 1학부(역사-철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Dr. phil.)를 취득했다. 경희대, 경기대, 명지대, 상명대, 강남대, 홍익대 등에서 강의를 했다. 현재는 가천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독일 관념론, 독일 초기 낭만주의, 프랑스 현상학, 해석학, 동서 비교 철학 등이다. 한국 헤겔학회, 한국칸트학회, 한국해석학회, 한국 현상학회(전 정보이사), 서양 근대철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Former President Trump's Victory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Reasons for Harris's Defeat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Columnist Kwon Ki-hwa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ended with former President Trump's victory. The results of various opinion polls were far from the expected close race, and Trump's victory was confirmed. Trump's victory was confirmed when he secured 279 electoral votes, exceeding half of the 538 electoral votes. Harris currently has 223, but her defeat is virtually certain. All that remains for Harris is to acknowledge her defeat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title of the first female president i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s still far away. Following former Secretary Clinton, Harris's defeat once again showe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become the first female president in the US. In fact, Harris became the presidential candidate in an unprecedented situation where the Democratic Party's candidate was replaced, so her campaign period was short and she had too little time to imprint her image on the general voters. Although she was the incumbent vice president, there were some limitations to continuing the initial surge in a situation whe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Biden administration. The stagnation of support after the so-called ‘honeymoon’ w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defeat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The Harris campaign had expected a ‘hidden Harris’ due to the abortion issue, but as the current economic problems due to rising price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highlighted, ‘hidden Harris’ has not been able to exert its influence. In particular, white women did not vote for Harris this time. Harris’s defeat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will cast a deep shadow over the future of the Democratic Party. With the Republican Party controlling the majority in the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Trump will be able to strongly push forward various policies. It is very rare for a former president to return to the White House after four years, and it is also very strange that the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were decided so quickly. First of all, what was the reason that Trump was able to win? In fact, the reason Trump was able to use abusive language, personal attacks, division, and hatred to his advantage and victory is because he is very good at pushing through even if it means taking some difficult measures to gather votes. Also, by emphasizing that Trump himself can prioritize America's interests and is capable of quickly resolving various American issues, he was able to judge the Biden administration's failures and furthermore to promote the idea that he can make America great again, and this was also effective for voters. Furthermore, by saying that the reason Trump failed to properly implement his administration during his term was because he was replaced by the Biden administration, it was effective to stimulate voters' nostalgia for the fact that the economy was better during his term. Although it may not be exactly like that,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US economy is not doing well, Trump's promises swayed voters' votes as if the US economy would improve if they were implemented right away, and this would benefit each voter.
On the other hand, Harris proposed several promises while advocating for the revival of the middle class, but voters did not perceive much of a difference between this and the Biden administration. Rather, Trump dug into this and attacked Harris, who is currently the vice president, as being in cahoots with Biden, and this was imprinted on voters. In addition, immigrants and people of color are bound to have a large number of defectors to Harris in a situation where the economy is not good. They do not necessarily support Trump, but rather, they are often antipathetic to the policies of the current Biden administration, even though Harris will not have changed much in the end. According to one survey, the fact that Harris's approval rating was lower than Biden's in this support group means that there were more defectors than the Democratic campaign had predicted. In particular, in swing states, the defectors were fatal for Harris.
Trump failed to respond properly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lost to Biden in the reelection, but he was resurrected after four years. The Biden administration is largely responsible for this. Trump meticulously prepared for four years to get revenge, and despite various legal risks, he re-entered the White House. Harris came onto the campaign trail as her first presidential election, but she was far from being able to break through the solid glass ceiling of reality. Harris spoke of the future, but in a way, she should have judged the reality more accurately and coolly before the future and thought specifically about what methods we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Yes! The abortion issue that Harris raised actually hindered her from expanding her scope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t is clear that the abortion issue is an important issue in terms of women’s rights, but since states such as Florida, South Dakota, and Nebraska rejecte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s to the abortion rights – although they passed in other states – the results of the state-by-state vote on abortion rights were actually divided, so their votes probably went to Trump rather than Harris. Of course, this issue will certainly come up again in Trump’s second term. Harris also failed to present a clear solution to the illegal immigration problem. In particular, the sudden surge in illegal immigrants is causing many problems in states bordering the country. Her remarks that the United States is a country of immigrants and that she is passively dealing with this issue are difficult to support among voters compared to Trump’s strong response. Of course, Harris should have presented a reasonable alternative to this, even if it wasn’t something like Trump’s deportation order for illegal immigrants. As a result, voters in the state became anxious, conservative media outlets competed to focus on this issue, and Trump also highlighted this issue with various abusive language and political attacks. In particular, Trump even criticized them as criminals. Harris did not respond well to this, because she was so absorbed in values and human rights that she failed to present a realistic solution to the problem.
When Trump attacked Harris and Biden with abusive language or lies, and Harris fought back, Trump simply dismissed it as fake news and used it to rally his supporters. Conservative media outlets also had an influence on this, and some mainstream media outlets took a somewhat ambiguous stance of not supporting a specific candidate, unlike in the previous presidential election, which actually worked against Harris. Harris spent more money on publicity and advertising than Trump, but ultimately failed to cross the threshold and lost the presidential election.
But will the light of day truly shine on Trump as the 47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t certainly won’t. Trump has declared that he can solve various pending issues, but the pending issues facing the United States will not be resolved in the Trump way during his term. However, with the Republican Party in the majority in Congress, various policies will be implemented more quickly than during the first Trump administration. Trump will likely reverse the Biden administration’s policies, creating conflict and hatred within the United States, and will fully engage in conflict and pressure with allies externally. Trump, who values transactions, is prepared to use any means or method to achieve America’s interests. If isolationism and unilateralism run rampant, the world will become even more unstable.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ll now compete even more fiercely in the Trump era.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rump, somewhat different from the first administration, will make big decisions first and then move on to specific steps, moving toward transactional relationships. This will be gauged by looking at the appearances of the members of the future government. Considering that Trump's frequent conflicts with his ministers during his first term caused confusion in policy, this time, the pro-government system may be strengthened even more. However, in this case, Trump, who is not familiar with Congress, may come into conflict with Congress. Also, Trump, like Biden, has the risk of old age, so this is even more so. Of course, the risk of old age will not be an immediate problem, but as time goes by, this issue may gradually be raised in the Republican Party. In particular, those aiming for the next presidency will certainly keep a close eye on this issue, as seen in the Democratic Party's prece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