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서울아리랑보존회(이사장 유명옥)가 주최하고 국회, 서울시, 서울시의회, 송파구청 등이 후원한 제14회 서울아리랑페어(Seoul Arirang Fair)가 지난 2~3일 서울 송파구 서울놀이마당에서 열렸다.
<역사와 함께하는 서울아리랑>이라는 소제목으로 열린 이번 축제는 공연, 경연, 학술, 체험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전통 아리랑 창작곡으로 서울아리랑의 역사, 문화, 예술적 가치를 공감하고 이해하는 자리였다.
한겨레 아리랑 연합회 김연갑 이사장의 사회로 멋지게 풀어가는 이번 축제에 김포, 군포, 제주, 공주, 문경, 제주 등 여러 아리랑 보존회가 우정 출연했다. 이 날 함께 한 국악인 남상일 교수의 농익은 남도민요는 듣는 이들의 흥을 돋우기에 충분했다. 국악인 남상일 출연 때 2,000여명의 관객이 열광하기도 했다.
서울아리랑의 유적지를 탐방하여 만든 영상은 과연 서울아리랑은 우리의 역사이며 고부가가치의 서울의 무형자산임을 확인했다. 일본의 야욕을 눈치채고 조심히 부르는 명성황후 아리랑, 민족의 큰별 안중근아리랑, 유관순 언니에게 바치는 독립군 아리랑, 삼천만 동포가 목이 터지게 불렀던 광복군 아리랑 등을 부르자 일부 관객들은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각국의 언어로 번역하여 부르는 주제가 아리랑은 세계속의 아리랑을 실감하게 했다. 더하여 진화한 아리랑은 발랄하게 만들어져 송파 아리랑으로 멋지게 진화되어 가고 있었다.
사단법인 서울아리랑보존회 유명옥 이사장은 ”오늘 이 행사를 우리 조상님들과 부모님들께 감사하며 올린다“며, ”우리도 후손들이 감사 할 수 있도록 여야가 싸우지 말고 한마음이 되고 행복한 나라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안중근아리랑도 작곡자와 여러 번을 고쳤지만 결국은 밝은 음악으로 만들어진 것이 우연이 아니라고 말하는 유명옥 회장은 ”유해도 남기지 않으신 안중근 의사님은 ’‘예수님처럼 부활하셔서 지금도 우리 민족을 도우시고 계신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유 이사장은 “너무 쉽다는 이유로 조선의 양반 지식층으로부터 천대와 괄시를 받던 한글이 400년이 지나서야 눈 밝은 외국인에 의하여 진가를 찾았듯이 서울아리랑 역시 너무 흔하다는 이유로 이름만 문화재로 지정해 놓은 채 관리가 되지 않는 것은 선조들이나 후손들에게 미안할 일이다”고 안타까워했다.
유명옥 회장은 “서울에서 생성된 서울아리랑은 서울을 대표하는 서울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서울의 지역성이 묻어나는 서울의 토리를 가진 아리랑으로 서울의 역사이고, 서울의 아이콘이다”며, “서울아리랑에 대한 역사적 고증과 보존, 계승 발전으로 자궁심을 높이고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게 무형유산 등재의 연장선에서 받드시 서울시 문화재로 지정되어 역사 문화적 콘텐츠로 이미지 브랜드로 키울 정책적 방향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유 회장은 “기쁠때나 슬플 때나 함께했던 우리의 아리랑, 우리의 역사이며 정체성인 아리랑이다”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 아리랑은 이제 치유와 수련의 노래를 넘어 나아가 관광산업과 민간외교의 훌륭한 도구로 쓰이며 세계 위에 우뚝 서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eoul Arirang Preservation Society “Seoul Arirang,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Seoul... 14th Seoul Arirang Fair held”
Arirang, which has been with us in times of joy and sorrow, our history and identity
The 14th Seoul Arirang Fair, hosted by the Seoul Arirang Preservation Society (Chairman Yoo Myung-ok) and sponsored by the National Assembly, Seoul City, Seoul City Council, and Songpa-gu Office, was held at the Seoul Norimadang in Songpa-gu, Seoul on November 2-3, 2024.
This festival, held under the subtitle <Seoul Arirang with History>, consisted of performances, competitions, academics, and experiences, and was a place to sympathize and understand the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Seoul Arirang through traditional Arirang compositions.
This festival, which was wonderfully hosted by Hankyoreh Arirang Association Chairman Kim Yeon-gap, was attended by several Arirang preservation societies from Gimpo, Gunpo, Jeju, Gongju, Mungyeong, and Jeju. On this day, Professor Nam Sang-il, a traditional Korean musician, performed a mature folk song of the southern provinces, which was enough to excite the audience. When Nam Sang-il, a traditional Korean musician, appeared, the audience of 2,000 people went wild.
The video created by visiting the historical sites of Seoul Arirang confirmed that Seoul Arirang is indeed our history and a high value-added intangible asset of Seoul. Some audience members even shed tears when they sang Empress Myeongseong Arirang, which was carefully sung after noticing Japan’s ambitions, Ahn Jung-geun Arirang, the great star of the nation, Arirang of the independence army dedicated to sister Yu Gwan-sun, and Arirang of the Liberation Army, which 30 million compatriots sang until their throats were hoarse.
The theme song Arirang, translated and sung in various languages, made us realize Arirang in the world. In addition, the evolved Arirang was lively and was evolving beautifully into Songpa Arirang.
The chairman of the Seoul Arirang Preservation Society, Yoo Myung-ok, said, “I hold this event today to express my gratitude to our ancestors and parents,” and added, “I hope that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will stop fighting and become one in mind and become a happy country so that our descendants can be grateful.”
Chairman Yoo said that it was no coincidence that Ahn Jung-geun Arirang was eventually created as bright music despite the composer’s many revisions, and her eyes were red as she said, “Ahn Jung-geun, who left no traces behind, was resurrected like Jesus and is still helping our people today.”
Chairman Yoo lamented, “Just as Hangeul, which was looked down upon and despised by the upper class intellectuals of Joseon because it was too easy, was only discovered by discerning foreigners after 400 years, the true value of Seoul Arirang was only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by its name because it was too common, and it is regrettable to our ancestors and descendants that it is not managed.”
Chairman Yoo Myung-ok said, “Seoul Arirang, which was created in Seoul,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representing Seoul, and Arirang, which h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ul and has a Seoul-style tori, is the history of Seoul and an icon of Seoul,” and added, “We urgently need a policy direction to raise awareness through historical verification, preservation, and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Seoul Arirang, and to designate it as a Seoul cultural heritage in line with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registration, and to develop it as an image brand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Chairman Yoo emphasized, “Arirang, which has been with us through both happy and sad times, is our history and identity,” and “Arirang, the most beautiful song in the world, is now standing tall in the world as an excellent tool for the tourism industry and private diplomacy, going beyond a song of healing and training.” hpf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