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영심 작가는 최근 《정해룡 평전》을 냈다. 김민환 소설가(고려대 미디어학부 명예교수)는 “김재규 평전을 쓴 작가의 경륜이 도드라진 역작”이라고 소개했다. 이 글은 김민환 소설가가 지난 10월 31일, 천도교 교당에서 열린 《정해룡 평전》 출간 기념식에서 축사를 했는데, 이 축사의 전문이다.<편집자 주>
전라도 사투리에 '떼락 크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고만고만한데 어느 것이 월등하게 크면 떼락 크다고 합니다. 전남 보성군 회천면 봉강리 677번지 정씨고택에 가면, 사랑채 정원에 떼락 큰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습니다.
귀한 수종이었으면 벌써 그 집 누군가가 팔아서 쌀로 바꿨을 텐데, 흔하디 흔한 소나무인데다 그것도 바위틈에서 자라, 자리를 지킬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 소나무는 지금 떼락 커서 '여기가 봉강이 살던 집'이라고 사방에 알리고 있습니다.
저는 그 소나무를 길할 길(吉)자 소나무 송(松)자, 길송(吉松)이라고 부릅니다. 길한 나무여서가 아닙니다. 봉강의 막내아들인 정길상 씨, 길상이를 똑 닮은 소나무여서 제가 길송이라고 이름지었습니다. 정길상이를 보니 참 잘 생겼더라고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만, 그 집안에 길상이처럼 못생긴 남자는 없습니다. 길상이처럼 못난 남자도 없습니다. 그런데 못생기고 못나고 못배운 길상이가 죽지 않고 살아남아서,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을 해냈습니다.
폐가가 되어 사람들이 근처에 얼씬거리는 것조차 두려워하던 정씨 고택을 도 지정 문화재로 등재하게 했습니다. 사실상의 중시조라고 할 수 있는. 임진왜란 1등 공신 반곡 정경달 선생의 시문집을 고려대 민족문화원이 '조선 명가 문헌총서 001'번의 번역서로 내게 했습니다. 그것도 두권으로 나왔습니다. 오늘 봉강 정해룡의 평전을 내고, 이런 빛나는 자리까지 마련했습니다.
평전만 하더라도 이걸 내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정길상은 평전이 평전답기 위해서는 한홍구 교수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길상은 그래서 생면부지의 한 교수를 찾아가 '우리 14대조 할아버지 문집에 당신 7대조가 발문을 썼다, 그러니까 당신이 우리 아버지 평전이 제대로 나오게 도와줘야 한다'고 떼를 써서 오늘이 있게 한 것입니다. 정경달 시문집에 발문이 둘인데, 첫째를 한 교수의 7대조 한치응 선생이 썼고, 둘째를 다산 정약용 선생이 썼습니다.
정씨고택을 지키는 길송을 닮은, 장자 내편에 나오는 들판을 지키는 큰 나무가 된 정길상 씨의 효심, 효행, 그 오기를 상찬하는 의미에서 정길상 선생께 따뜻한 박수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귀한 자리입니다만, 죄송함을 무릅쓰고 몇 말씀 더 드리겠습니다. 저는 집안이 어려워서 중학교를 나온 뒤에 진학하지 못하고 한문서당엘 다녔습니다. 그러던 중, 목포에 고등학교가 하나 있는데 그 학교는 등록금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하숙비도 대주고 책이나 옷, 모자, 신발을 공짜로 준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중졸 2년 뒤에 목포해양고등학교에 입학했습니다. 선원을 양성하는 국립 학교였습니다.
1학년 첫 여름방학을 맞아 시골집에 있는데 어느 날 같은 항해과 학우가 주소록을 들고 저를 찾아왔습니다.
"자네 동네가 원등이 맞는가?"
"맞네. 원등이라고 쓰고, 원뜽이라고 읽네."
그 친구가 깜짝 놀랐습니다. 자기 4대 조모의 택호가 원뜽 할머니였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하고 저를 찾아온 것이었습니다.
"자네 본이 으딘가?"
"영광이네. 나, 영광 김가네."
"자네 집에 족보가 있는가?"
"있고말고."
족보를 찾아보니 우리 집안 4대 고모할머니가 그 친구 4대 조모였습니다. 남남이 아닌 걸 확인하고 우리 둘은 친해져서 목포에서 자취도 함께 하고 하숙도 함께 했습니다. 그 친구가 봉강 정해룡 선생의 아우님이신 정해진 선생의 차남으로, 오늘 이 자리를 마련한 정길상 씨의 4촌형인 정훈상 이었습니다.
우리 둘에게는 같은 꿈이 있었습니다. 교가 가사에 있듯이 '창파로 벗을 삼는 바다의 아들' 마도로스가 되는 것이 우리의 꿈이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둘은 그 꿈을 이루는데 실패했습니다. 저는 3학년 때 결핵에 걸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제 친구 정훈상은 그 학교를 나오면 거의 누구나 받는 선원수첩을 받지 못해 선원이 되지 못했습니다. 왜 선원수첩을 못받았는가? 연좌제 때문이었습니다.
그 친구의 아버지는 당시에 북에서 고관이 되어 있었습니다. 경성대 재학시절부터 절친이었던 정해진 김석형 김수경 3총사는 모두 월북했습니다. 김석형은 김일성 대학의 총장이 되었습니다. 김수경은 김일성 대학의 교수로서 북의 국어를 정립했습니다. 북에서는 노동신문을 로동신문이라고 쓰는데, 그게 김수경 문법을 따른 것입니다. 제 친구 아버지는 경성대학을 나와 동경제대 대학원을 다니다가 귀국해 부천에서 노동운동을 폈는데, 북으로 가서는 대남사업부 부부장으로 대남사업을 총괄했습니다. 차관급이지만 상급 교육을 마쳐 상급 대우, 그러니까 장관급 대우를 받고 있었습니다. 그런 아버지를 둔 탓에 제 친구는 을종 2등 항해사 마도로스가 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고졸 2년 뒤에 서울에서 다시 만났습니다. 저는 고려대 신문방송학과, 그 친구는 중앙대 신문방송학과에 입학했습니다. 저는 가정교사 알바를 해서 생활비를 벌었습니다. 그 친구는 평일에는 새벽 4시에 명동으로 가서 술집 여남은 군데 청소를 해주고 그 보상으로 빈 병을 수거해 고물상에 팔았습니다. 토요일 일요일에는 명동공원에 가서 좌판 놓고 땅콩 캐러멀 찐달걀 등을 팔았습니다.
우리 둘은 종종 만났습니다만, 1969년 들어 왕래가 끊겼습니다. 그때 박정희 대통령이 삼선개헌을 밀어붙였는데, 저는 개헌반대 선언문 몇 개를 썼다가 학교에서 정학을 당하고, 경찰 수배를 받아 도망 다니느라 경황이 없었습니다. 그 친구는 그 무렵에 입대해서 만나려야 만날 수도 없었다는 걸 뒤에 알았습니다.
그러다가 얼마쯤 세월이 지나 기상천외한 채널을 통해 그 친구 목소리를 듣게 되었습니다. 그 친구 정훈상이가 일본으로 밀항했다가 결국 월북해서, 평양에서 라디오 대남방송으로 저를 찾은 것입니다.
"어야, 민환이. 나, 훈상이네. 나 지금 평야에 있네."
저처럼 집안이 어려워 제때제때에 학교에 다닐 수 없는 사람. 저처럼 병에 걸려 사는 것 자체가 고달픈 사람에게 북한은 천국과 같은 곳이라고 했습니다. 어떤 이가 방송 녹취록을 보여주며 저더러 앞으로 까불면 크게 다칠 거라고 엄포를 놓았지만, 그보다는 그 친구가 영영 볼 수 없는 곳으로 가고만 사실을 알고 눈물을 쏟았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그 친구는 북에서 의거입북자동지회 회장으로서 잘 지내고 있습니다만, 죽어서는 따뜻한 남쪽나라 보성 선산에 묻히고 싶어하는 모양입니다. 그 친구의 마지막 소망이나마 꼭 이루어지기를 빕니다.
저는 그 친구 집안 이야기를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는 제목의 소설로 써서 이병주문학상도 받고, 노근리 평화 문학상도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 소설이 빛을 보게 하기 위해 어떤 분을 두번 죽이는 죄를 저지르고 말았습니다.
소설을 탈고하고 보니 모두 700쪽 분량의 장편이 되었습니다. 출판사에 원고를 가져갔더니 읽어보지도 않고 500쪽으로 줄이라고 했습니다. 형용사나 부사를 빼고 문장 몇 개를 없앤다고 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결국 등장인물 한 분을 빼야 했습니다. 그런 과정을 거쳐 저는 전남대 철학과 정종구 교수 이야기를 들어냈습니다.
정종구 교수는 누구인가? 광주에서 5-18 태풍이 몰아친 직후에 기관에서 보성 가족 간첩단사건을 발표했습니다. 기관은 북의 대남사업부 부부장 정해진이 두번이나 보성에 내려와 가족을 만났다고 했습니다. 기관에서는 처음에 이 사건과 5-18과의 연계 여부를 살펴본 모양입니다. 그러나 간첩단 사건으로 잡아들인 정종희 정춘상 정길상 세 사람으로, 이들과 5-18을 묶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나봅니다. 정종희는 여순사건 때 총상을 당해 시력을 잃은 농사꾼이었습니다. 정춘상은 전남대를 나와 잠깐 직장에 나가다가 구조조종으로 잘려난 무직자였습니다. 정길상은 고등학교를 나와 준교사로 보성 변두리 초등학교를 전전하는 교사였습니다. 인품이야 다들 출중하지만, 그분들로 그집 사건과 광주를 연계하는 것은 무리였을 겁니다. 그래서 찾아낸 이가 전남대 철학과 정종구 교수였습니다. 정 교수는 봉강과 힐 집안사람으로 이웃마을 출신이었습니다. 기관은 정 교수를 붙들어 가서, 정해진의 지령을 받아 학생운동을 부추기지 않았는지 캐물었습니다. 정 교수는 정해진을 만난 적도 없고 지령을 받은 적은 더더욱 없다고 했습니다. 기관은 아무리 독한 사람한테도 사실은 사실대로 털어눟게 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갖 기술을 동원했지만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없자, 기관은 정 교수를 회유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정 교수는 정해진은 물론 그의 아들 정춘상도 만난 적이 없고, 더 이상 할 말도 없다며 묵비권으로 일관했습니다. 기관은 결국 전기를 독하게 썼고, 정 교수는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기관은 정 교수를 서울 병원으로 데려갔다가 도쿄 병원으로 데려갔다가 다시 광주 병원으로 데려왔습니다. 정 교수는 끝내 다시 일어서지 못하고 저 세상으로 가고 말았습니다. 정 교수의 그런 이야기를 제 소설에서 빼냄으로써 저는 정 교수를 다시 죽이는 죄를 저지르고 말았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정 교수의 영령께 용서를 청합니다.
정씨 집안 이야기를 소설로 쓴다는 건, 전에는 엄두도 낼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이나마라도 열린사회가 되어 소설도 내고 평전도 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우리 사회가 이만큼이라도 열린사회가 되기까지 수많은 분이 목숨을 바치거나 잃었습니다. 또 여기 계신 함세웅 신부님, 이부영 선생님, 박석무 선생님 등을 비롯한 많은 분들이 민주화운동을 헌신적으로 끈질기게 이끄셨습니다. 많은 분들의 피와 땀 덕분에 글을 쓰는 사람들이 글 쓸 용기를 얻었을 겁니다. 글을 쓰고 있는 한 사람으로써 민주화를 위해 애쓰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어떤 이들은 이제 민주화가 완성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저는 감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민주화란 현재완료형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현재진행형이고 또 그래야만 합니다. 이 자리가 그런 사실을 되새김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긴 말씀, 경청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필자/김민환. 고려대 미디어학부 명예교수, 소설가.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ongratulating the publication of author Moon Young-shim's 'Jeong Hae-ryong Biography'
-Novelist Kim Min-hwan
Author Moon Young-shim recently published 'Jeong Hae-ryong Biography'. Novelist Kim Min-hwan (Professor Emeritus, Department of Media, Korea University) introduced it as "a masterpiece that highlights the experience of the author who wrote the biography of Kim Jae-gyu." This article is the full text of the congratulatory speech that novelist Kim Min-hwan gave at the publication ceremony of 'Jeong Hae-ryong Biography' held at the Cheondoist church on October 31. <Editor's Note>
There is a saying in the Jeolla dialect, 'Terak Keudae'. When something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something else, it is called 'Terak Keudae'. If you go to the Jeong family house at 677 Bonggang-ri, Hoecheon-myeon, Boseong-gun, Jeollanam-do, you will see a pine tree that is as large as a pine tree in the Sarangchae garden.
If it had been a rare species, someone in that house would have already sold it and exchanged it for rice, but it was a very common pine tree, and it grew in a crevice between rocks, so it could have kept its place. That pine tree has now grown so big that it announces to everyone, “This is the house where Bonggang lived.”
I call that pine tree Gil-hael (吉) and Pine Tree Song (松), Gil-song (吉松). It’s not because it’s an auspicious tree. It’s because it looks exactly like Bonggang’s youngest son, Jeong Gil-sang, Gil-sang, that I named it Gil-song. Some people say that Jeong Gil-sang is very handsome, but there is no man in that family as ugly as Gil-sang. There is no man as ugly as Gil-sang. However, Gil-sang, who was ugly, uneducated, and unloved, survived and accomplished something unimaginable.
I had the Jeong family’s old house, which had been abandoned and people were afraid to even come near it, registered as a provincial cultural property. He could be called the de facto founder of the family. The Korea University National Cultural Center published the poetry collection of Mr. Jeong Gyeong-dal, the first-ranked contributor to the Imjin War, as a translation of the 'Joseon Myungga Literature Series 001'. It also came out in two volumes. Today, we published a biography of Bonggang Jeong Hae-ryong and even secured this glorious position. Even just publishing a biography was not an easy task. Jeong Gil-sang decided that he needed the help of Professor Han Hong-gu in order for the biography to be a biography. That's why Gil-sang went to a professor he didn't know and insisted, "Your 7th great-grandfather wrote the preface to my 14th great-grandfather's anthology, so you should help me publish a proper biography of my father," and that's how we got to where we are today. There are two prefaces to Jeong Gyeong-dal's poetry collection, the first was written by Professor Han's 7th great-grandfather, Mr. Han Chi-eung, and the second was written by Dasan Jeong Yak-yong. In order to praise the filial piety, filial conduct, and selfishness of Mr. Jeong Gil-sang, who resembled Gilsong, who guarded the Jeong family house, and became a large tree that guards the fields in Jangja’s Naepyeon, I hope you will give a warm round of applause to Mr. Jeong Gil-sang.
Although this is a precious occasion, I will say a few more words despite my apologies. Because my family was poor, I was unable to advance to higher education after graduating from middle school and instead attended a Hanmun Seodang. Then, I found out that there was a high school in Mokpo that not only had no tuition, but also paid for boarding and gave away books, clothes, hats, and shoes for free. So I entered Mokpo Maritime High School two years after graduating from middle school. It was a national school that trained sailors.
One day, when I was at my country home during the first summer vacation of my freshman year, a fellow student from the same navigation department came to see me with an address book.
“Is your neighborhood Wondeung?”
“Yes. It’s written as Wondeung and read as Wonbyeong.”
My friend was surprised. My great-great-grandmother's name was Won-beop Grandmother. That's why she came to see me just in case.
"Where is your ancestor?"
"It's Yeonggwang. I'm from Yeonggwang Kim."
"Do you have a genealogy?"
"Yes, there is."
When I looked into the genealogy, my great-great-grandmother was that friend's great-great-grandmother. After confirming that they were not strangers, we became close and lived together in Mokpo and boarded together. That friend was Jeong Hoon-sang, the second son of Jeong Hae-ryong, the younger brother of Bonggang Jeong Hae-ryong, and the fourth cousin of Jeong Gil-sang, who is here today.
The two of us had the same dream. As the school song says, our dream was to become sailors, "sons of the sea who make friends with the waves." However, both of us failed to achieve that dream. I contracted tuberculosis in my third year of high school and was unable to do anything. My friend Jeong Hoon-sang did not receive the sailor’s booklet that almost everyone who graduated from that school received, so he could not become a sailor. Why did he not receive the sailor’s booklet? It was because of the joint responsibility system.
His father was a high-ranking official in the North at the time. The three musketeers, Jeong Jeong, Kim Seok-hyung, and Kim Su-kyung, who had been close friends since their days at Kyungsung University, all defected to the North. Kim Seok-hyung became the president of Kim Il-sung University. Kim Su-kyung established the North’s national language as a professor at Kim Il-sung University. In the North, the Rodong Sinmun is called Rodong Sinmun, which follows Kim Su-kyung’s grammar. My friend’s father graduated from Kyungsung University and went to graduate school at Dongguk University before returning to Korea and engaging in the labor movement in Bucheon. After going to the North, he became the deputy director of the South Korea Affairs Department and oversaw South Korea affairs. Although he was a vice minister, he had completed advanced education and was treated as an advanced person, that is, as an official. Because of such a father, my friend could not become a second-class sailor.
We met again in Seoul two years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 entered the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Broadcasting at Korea University, and my friend entered the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Broadcasting at Chung-Ang University. I worked part-time as a tutor to earn my living expenses. On weekdays, my friend would go to Myeongdong at 4 a.m. to clean several bars and collect empty bottles as compensation, which he would then sell to a junk shop. On Saturdays and Sundays, he would go to Myeongdong Park and set up a stall to sell peanuts, caramels, and steamed eggs.
The two of us often met, but we stopped visiting in 1969. At that time, President Park Chung-hee was pushing for a third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I wrote several declarations opposing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suspended from school, and was wanted by the police, so I was in a state of confusion. I later found out that my friend had enlisted at that time, so I couldn’t meet him even if I tried.
Then, after some time, I heard his voice through an extraordinary channel. My friend Jeong Hoon-sang had smuggled himself to Japan, but eventually defected to North Korea, and came to me through a radio broadcast to South Korea in Pyongyang. "Hey, Min-hwan. It's me, Hoon-sang. I'm in the plains right now."
For someone like me who couldn't go to school on time because of my family's hardships, and someone like me who was sick and had a hard time just living, North Korea was like heaven. Someone showed me a recording of a broadcast and threatened me that I would get seriously hurt if I continued to mess with him, but I still vividly remember how I cried when I found out that my friend had gone to a place I would never see again.
My friend is doing well in the North as the chairman of the North Korean Refugee Association, but it seems that he wants to be buried in the warm Boseong cemetery in the South after he dies. I hope that his last wish comes true.
I wrote a novel about my friend's family called "The Big Bird Flies Against the Wind" and won the Lee Byeong-ju Literary Award and the Nogunri Peace Literary Award. However, I ended up committing the crime of killing someone twice in order to bring that novel to light. When I finished the novel, it was a long story of 700 pages. When I took the manuscript to the publisher, they told me to reduce it to 500 pages without even reading it. It wasn’t a problem that could be solved by removing adjectives or adverbs and a few sentences. In the end, I had to remove one character. Through that process, I came across the story of Professor Jeong Jong-gu of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o is Professor Jeong Jong-gu? Right after the 5-18 typhoon hit Gwangju, the agency announced the Boseong Family Spy Case. The agency said that Jeong Jeong, the deputy director of the North’s South Korea Affairs Department, had come down to Boseong twice to meet his family. It seems that the agency initially looked into whether this case was connected to 5-18. However, since Jeong Jong-hui, Jeong Chun-sang, and Jeong Gil-sang were arrested for the spy case, it seems that there was a limit to tying them to 5-18. Jeong Jong-hui was a farmer who lost his eyesight after being shot during the Yeosu-Suncheon Incident. Jeong Chun-sang was an unemployed person who graduated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worked for a short time before being fired due to structural manipulation. Jeong Gil-sang was a high school graduate and a teaching assistant at an elementary school in the outskirts of Boseong. They were all outstanding in character, but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them to connect the incident at that house to Gwangju. That’s why they found Professor Jeong Jong-gu of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Jeong was from a neighboring village, a member of the Bonggang and Hill families. The agency arrested Professor Jeong and questioned him about whether he had incited student movements under the orders of Jeong. Professor Jeong said he had never met Jeong and had never received orders from Jeong. The agency has the skill to make even the most vicious people confess the truth. When they could not get the answer they wanted despite using all their techniques, the agency began to persuade Professor Jeong. However, Professor Jeong maintained his right to remain silent, saying that he had never met Jeong or his son Jeong Chun-sang and had nothing more to say. The agency eventually used a poisonous battery, and Professor Jeong collapsed. The agency took Professor Jeong to Seoul Hospital, then to Tokyo Hospital, and then to Gwangju Hospital. Professor Jeong never got back up and passed away. By taking Professor Jeong’s story out of my novel, I committed the sin of killing Professor Jeong again.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ask for forgiveness from Professor Jeong’s spirit.
Writing the story of the Jeong family as a novel was something I could never have imagined before. Now that our society has become open, we can publish novels and biographies. Many people have sacrificed or lost their lives for our society to become open to this extent. In addition, many people, including Father Ham Se-woong, Professor Lee Bu-yeong, and Professor Park Seok-mu, devotedly and persistently 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anks to the blood and sweat of many people, writers must have gained the courage to write. As a writer,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all those who have worked hard for democratization.
Some say that democratization is now complete. However, I dare to say that democratization is not a present perfect tense, but a present progressive tense that is always and everywhere and must be. I hope that this place will be a place to reflect on that fact. Thank you for listening to my long speech.
*Author/Kim Min-hwan. Professor Emeritus, Department of Media, Korea University, Nove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