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문학가-시인인 이오덕(李五德, 1925-2003) 선생은 전 생애에 걸쳐 삶의 교육을 실천했다. 특히 아이들 글과 글쓰기 교육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 후학들에게 가르쳤다. 이오덕 선생은 2025년(11월14일)이 탄생 100주년이다. 그의 탄생 100주년을 앞두고, 이오덕 선생의 생애를 뒤돌아보는 특집을 마련했다. 한길사 김언호 대표가 쓴 “그해 봄날-출판인 김언호가 만난 우리 시대의 현인들(2020, 도서출판 한길사)“라는 제목의 저서 가운데 ”이오덕 선생의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그해 봄날』 409~431p)“이라는 글에 게재돼 있다. 이 글은 한길사의 허락을 얻어, 본지(브레이크뉴스)에 3회 걸쳐 연재하는 글이다. (출처: 김언호, 『그해 봄날-출판인 김언호가 만난 우리 시대의 현인들』(2020), 도서출판 한길사. 자료 제공: 도서출판 한길사). <편집자 주>
《『이오덕 교육일기』를 내면서》
1989년에 출간된 『이오덕 교육일기』전 2권는 교육자 이오덕, 어린이 문학가 이오덕의 참모습을 보여준다. 1962년 9월부터 1972년 7월까지의 ‘교사일기장’을 정리한 것인데,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삶의 교육을 해내는 교육자의 모습, 자연 속에서 노래하면서 뛰노는 아이들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와하! 하고 아이들은 산으로 달려간다. 아이들도 즐겁고 나도 즐겁다.
‘이거 무슨 풀이라요?’
‘선생님 숟가락 만들어줄까요?’
댓잎을 따서 무엇을 만들고 있는 아이가 말한다. 숲이 꽉 우거져 있는 산에 들어가서, 아이들과 나는 턱도 없이 좋아서 노래부르고 지껄여댔다.
‘선생님 윤원이가 코피 나와요. 줄줄 나와요.’
놀라서 달려가 보니 소나무에 머리를 부딪쳤다고 한다. 바위틈 샘물에 씻으니 피는 곧 멎었다.”
가난한 시절, 저 산골학교와 아이들의 풍경이 아름답다. 교사 이오덕은 어느 날 아이들과 함께 학교 마당에 심은 나무의 둘레를 줄자로 재고 있었다.
“내년에도 재보고, 내후년에도 재보자.
10년 후에 와서도 재보면 좋겠다.”
한길사는 1987년 『현복이의 일기』를 펴낸다. 서울 개화초등학교 5학년 신현복 군이 1985년과 6학년인 1986년에 쓴 103일 동안의 일기인데, 이오덕 선생이 주선해주었다. 책은 나오자마자 큰 반응을 일으켰다. 이오덕 선생은 『현복이의 일기』 책머리에 현복이의 글쓰기에 대해 썼다.
“나는 현복이한테 물어보았다. 지금까지 어떤 책을 읽었느냐고. 그런데 현복이는 내가 읽었을 것이라고 믿었던 책, 내가 읽기를 바랐던 책들을 한 권도 읽지 못했다. 대체 이 아이가 일기에 적어놓은 이 착한 마음, 사물을 보고 판단하는 태도, 소박하면서도 비뚤어지지 않은 생각, 풍부한 감정과 섬세한 느낌을 적은 말들, 이런 것을 어디서 어떻게 배웠을까.
모든 아이들이 흉내만을 내도록 강요받고 획일적인 느낌과 생각을 갖게 되어 있는 오늘날의 교육환경에서 현복이 같은 아이가 남아 있다는 것은 기적 같기도 하다. 참으로 고맙고 다행한 일이다. 아이들의 그 무한히 뻗어나갈 수 있는 재능이, 현복이의 경우 천만다행히도 짓밟히지 않고 꺾이지도 않고 그대로 살아 있다. 담임 주순중 선생님의 도움이 컸으리라.”
“수많은 아이들이 닭장에 갇혀 있는 동물의 신세가 되어 병들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교육자 이오덕은 묻는다.
“30년 전이나 50년 전이나 다름없이, 우리 아이들과 우리 겨레를 살리는 길은, 일과 놀이와 공부가 하나가 되는 삶을 어릴 때부터 즐기도록 하는 데 있다고 나는 믿고 있다.”
《우리글 우리 문장 바로 쓰기》
저 1980년대에 이오덕 선생은 안암동 우리 출판사를 자주 방문했다. 나는 선생과 우리말 우리글을 이야기했다. 선생은 우리말 우리글을 잘 구사하는 분이 함석헌 선생이라고 했다. 함석헌 선생의 글과 말에 대해 한 권의 책을 쓰겠다고도 했다.
이오덕 선생은 우리말 우리글을 연구하고 쓰는 일이 당신에게 가장 중요하고도 큰일이라고 했다. 부모한테서 배운 말을 하찮게 여기고, 조국이 가르쳐준 말을 왜곡시키는 현실을 고쳐나가고 바로 쓰게 하는 ‘운동’에 나섰다. 나는 선생을 뵐 때마다 우리말 우리글을 바로 쓰게 하는 책을 써야 한다고 말씀드렸다. 그렇게 하여 1989년에 『우리글 바로 쓰기』 제1권이 간행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그 어떤 일보다도 먼저 해야 할 일은 외국말과 외국말법에서 벗어나 우리말을 살리는 일이다. 한번 병들어 굳어진 말은 정치로도 바로잡지 못하고 혁명으로도 할 수 없다. 이 땅의 민주주의는 남의 말, 남의 글로 창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말로 창조하고 우리말로써 살아가는 것이다.”
이오덕 선생은 1992년에 『우리말 바로 쓰기』 제2권을, 95년에 제3권을 펴냈다. 제2권을 내면서 선생은 우리말의 안타까운 현실을 적었다.
“우리 지식인들은 분단 반세기 동안 ‘입장’이란 일본말 하나도 바로잡아 쓰지 못했고, 아직도 바로잡을 생각조차 안 하면서 끊임없이 병든 말을 퍼뜨리고 우리말을 죽이고 있다. 그러나 나는 절망하지 않는다. 나와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이 방방곡곡에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병든 글에서 벗어나 말로써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은 우리들 편임을 산같이 믿고 있기 때문이다.”
‘입장’과 나란히 ‘달인’이라는 일본말을 마치 우리말인 것처럼 버젓이 쓰고 있는 것이 오늘 우리 언어의 현실이다. 이오덕 선생에게 우리말 우리글 바로 쓰기 운동은 곧 올바른 교육운동이자 이 국제화 시대에 더욱 요구되는 민족운동·민족문화운동이었다. 『우리글 바로 쓰기』 제3권에서 선생은 다시 우리말 우리글의 정신과 사상을 강조한다.
“나는 우리 사회와 국가의 모든 실상과 거기 얽힌 문제를 푸는 열쇠를 ‘말’에서 찾아내었다. 위대한 우리 조국의 말, 배달말은 위대한 글자 한글을 낳았고, 이 말과 글은 내게 모든 것을 환히 비춰 보여주는 햇빛이었다.”
내가 존경하는 조용환 변호사는 언젠가 나에게 말한 바 있다. “이오덕 선생의 『우리글 바로 쓰기』는 『해방전후사의 인식』 못지않게 중요한 책”이라고. 『우리말 바로 쓰기』 제4권·제5권은 선생이 서거한 이후에 출간되었다.
나는 다시 『우리말 바로 쓰기』와 나란히 『우리 문장 쓰기』1992를 기획했다.
“이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한 결로 이어 놓은 뜻은 우리말로 쓰는 정직한 글, 아이들도 읽을 수 있는 쉬운 말로 쓴 글이 가장 귀한 글이고 가치가 있는 글이란 믿음이다.”
모든 글은 글쓰는 자신의 삶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우리 문학은 겨레의 삶과 말에서 멀리 떠나 있다.” 방 안에 앉아 글을 쓰는 데서 오는 필연의 결과다. 우리가 쓰는 글이 ‘글의 공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일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삶의 문학”이 되어야 한다.
글쓰기가 “특수한 사람만이 즐기는 기술”이 되어서는 안 된다. “문학이란 이름으로 씌어진 글이 문학이 아닌 삶의 글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이 결코 아니다.” 말을 누구나 하듯이, 모든 사람이 쓰고 싶은 글을 마음대로 쓸 수 있어야 “말이 살아나고 글이 살아난다.” “사람이 살아나고 문학이 살아난다.” <계속>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ildren's Literature Writer Lee O-deok's 100th Anniversary... Lee O-deok's Life and Literature <Part 2>
-Kim Eon-ho, CEO of Hangilsa Publishing
Lee O-deok (李五德, 1925-2003), a children's literature writer and poet, practiced life education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he rediscovered the value of children's writing and writing education and taught it to his students. Lee O-deok's 100th anniversary will be in 2025 (November 14). Ahead of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we have prepared a special feature looking back on Lee O-deok's life. It is included in the article “Writing Education to Cultivate the Life of Mr. Lee O-deok (『That Spring Day』 409-431p)” in the book titled “That Spring Day - The Wise Men of Our Time Met by Publisher Kim Eon-ho (2020, Hangilsa Publishing)” written by Hangilsa CEO Kim Eon-ho. This article is a series of articles published in three installments in this magazine (Break News) with the permission of Hangilsa. (Source: Kim Eon-ho, 『That Spring Day - The Wise Men of Our Time Met by Publisher Kim Eon-ho (2020), Hangilsa Publishing. Data provided by Hangilsa Publishing).
《On the Publication of 『Lee O-deok Education Diary』》
The two volumes of 『Lee O-deok Education Diary』 published in 1989 show the true face of Lee O-deok as an educator and children’s author Lee O-deok. This is a compilation of ‘Teacher’s Diary’ from September 1962 to July 1972, and it captures the image of an educator teaching life with childre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image of children running around and singing in nature.
“Wow! The children run to the mountain. The children are happy and I am happy.
‘What kind of grass is this?’
‘Teacher, should I make a spoon for you?’
A child who is making something by picking bamboo leaves says. As we entered the mountain covered with a dense forest, the children and I were so happy that we sang and chattered.
‘Teacher, Yunwon has a nosebleed. It’s dripping.’
I ran over in surprise and found that he had hit his head on a pine tree. When he washed it in the spring water between the rocks, the bleeding stopped right away.”
The scenery of the mountain school and the children during those poor times is beautiful. One day, teacher Lee O-deok was measuring the circumference of a tree planted in the school yard with a tape measure with the children.
“Let’s check again next year, and the year after that. I hope to come back and read it again in 10 years.”
Hangilsa published 『Hyunbok’s Diary』 in 1987. It is a 103-day diary written by Shin Hyunbok, a fifth grader at Gaehwa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 1985 and 1986, and was arranged by Mr. Lee O-deok. The book received a great response as soon as it was published. Mr. Lee O-deok wrote about Hyunbok’s writing in the introduction of 『Hyunbok’s Diary』.
“I asked Hyunbok what books he had read so far. But Hyunbok had not read a single book that I believed he had read or that I had hoped he would read. Where and how did he learn the kind heart, attitude of seeing and judging things, simple yet unbiased thoughts, and words that contained rich emotions and delicate feelings that he wrote in his diary?
In today’s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all children are forced to imitate and have uniform feelings and thoughts, it seems like a miracle that a child like Hyunbok still exists. It is truly a blessing and a blessing. The children’s infinitely expanding talents, in the case of Hyunbok, fortunately, are still alive without being trampled or broken. His homeroom teacher, Joo Soon-joong, must have helped him a lot.”
“In a situation where countless children are becoming sick and becoming like animals in chicken coops,” asks educator Lee O-deok.
“I believe that the way to save our children and our people, no different from 30 or 50 years ago, is to let them enjoy a life where work, play, and study become one from a young age.”
《Correct Writing of Our Language and Sentences》
In the 1980s, Mr. Lee O-deok often visited our publishing company in Anam-dong. I talked to him about our language and writing. He said that the person who speaks our language and writing well is Mr. Ham Seok-heon. He also said that he would write a book about Mr. Ham Seok-heon’s writing and speech. Mr. Lee O-deok said that studying and writing our language was the most important and important thing for him. He started a ‘movement’ to correct the reality of belittling the words we learned from our parents and distorting the words taught by our country and to use them correctly. Every time I met him, I told him that I should write a book that would help us write our language correctly. That’s how the first volume of ‘Correct Writing Our Language’ was published in 1989.
“What we must do more than anything else today is to escape foreign words and foreign language laws and revive our language. Once a language has become sick and hardened, it cannot be corrected through politics or revolution. Democracy in this land cannot be created with other people’s words or writing, but rather created with our language and lived with our language.”
Mr. Lee O-deok published the second volume of ‘Correct Writing Our Language’ in 1992 and the third volume in 1995. When he published the second volume, he wrote about the unfortunate reality of our language.
“Our intellectuals have not been able to correct even one Japanese word, ‘position,’ during the half-century of division, and they are still not even thinking about correcting it, and are constantly spreading sick words and killing our language. However, I do not despair. This is because I know that there are people who think like me everywhere. This is because I believe that all those who have escaped sick words and lived with words are on our side.”
The reality of our language today is that we are using the Japanese word, ‘master,’ along with ‘position,’ as if it were our word. For Mr. Lee O-deok, the movement to write our language correctly was a movement for proper education, as well as a movement for nationalism and national culture that is even more necessary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In Volume 3 of ‘Writing Our Language Correctly,’ the teacher again emphasizes the spirit and ideology of our language.
“I found the key to solving all the realities of our society and country and the problems entangled therein in ‘words.’ The language of our great fatherland, Baedal, gave birth to the great alphabet, Hangeul, and these words and letters were the sunlight that illuminated everything to me.”
The lawyer Cho Yong-hwan, whom I respect, once told me, “Lee O-deok’s ‘Correct Writing of Our Language’ is as important a book as ‘Awareness of the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Volumes 4 and 5 of ‘Correct Writing of Our Language’ were published after the teacher passed away.
I planned ‘Correct Writing of Our Language’ alongside ‘Correct Writing of Our Sentences’ in 1992.
“The unifying meaning of this book from beginning to end is the belief that honest writing in our language, writing in easy language that even children can read, is the most precious and valuable writing.”
All writing should be based on the writer’s own life. “Our literature is far removed from the lives and words of our people.” It is an inevitable result of sitting in a room and writing. The writing we write should not become ‘a pollutant of writing.’ It should become “literature of life that people who work and live can enjoy.”
Writing should not become “a skill that only special people can enjoy.” “Writings written under the name of literature are never more valuable than writings of life that are not literature.” As everyone says, when everyone can write freely what they want to write, “words come alive and writing comes alive.” “People come alive and literature comes aliv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