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가요사 최초로 기획된 프로그램 MBN 음악 예능 프로그램 한일가왕전을 통하여 최고의 스타로 탄생한 가수는 일본의 우타고코로 리에(歌心りえ) 가수다.
가수가 한일가왕전 3회에 부른 ‘눈의 꽃(雪の華)’은 단일 곡 단일 버전에서 오늘 오전 기준 753만 회라는 경이적인 조회 수를 기록하며 한일가왕전에 참가한 두 나라 가수 중 부동의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한일가왕전 5회에 부른 ‘어릿광대의 소네트(道化師のソネット)’는 조회 수 620만 회로 3위다.
지난 6월 13일 일본 후지 TV 아침 생방송 '메자마시 8'(めざまし8)에서는 우타고코로 리에 특집이 방영되었다. 방송은 "무명의 일본 여성 가수 우타고코로 리에가 한국에서 매우 인기 있는 가수다"라는 자막으로 시작하면서 당시 유튜브에서 370만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었던 가수 리에의 노래 영상을 소개하며 "하늘이 만든 가성"이라고 평가하였다.
1995년 3인조 Letit go 보컬로 데뷔하여 일본 포카리 스웨트 CM송으로 잘 알려진 인기곡 ‘200배의 꿈’을 부른 30년 차 내공의 가수였지만, 무명 가수였다.
트롯 걸스 저팬 준우승으로 한일가왕전에 참가한 가수는 51세로 두 나라 대표 중 최연장자였다. 깊은 호소력을 품은 음색으로 악기처럼 노래를 매만져가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현해탄을 건너 한국에서 스타로 탄생하였다.
가수는 국내 포크송의 대부인 고 조동진(1947~2017) 싱어송라이터가 1985년 3집에 발표한 제비꽃을 현대적 감성의 팝 발라드로 재해석한 첫 번째 싱글 앨범을 지난 21일 오후 6시 각종 온라인 음원 사이트를 통해 발매하였다. 이는 그의 첫 정식 한국어 발표곡이며 한일가왕전 일본 대표 TOP 7중 싱글 발표 또한, 최초이다.
가수의 노래 제비꽃을 들으며 가수의 음색과 감성을 헤아린 강화성 작곡가의 서정적인 편곡에 담긴 감성이 맨살에 떨어지는 물방울처럼 와 닿았다.
조동진 가수의 원곡은 바이브레이션이 부재한 꾸밈 없는 느릿한 서정이 봄날의 햇살처럼 따뜻한 음악이다. 그러나 지루하지 않은 원곡의 특성을 깊숙하게 해체하여 서정적인 기타의 선율로 시작하여 가수의 맑은 노래를 예고하는 피아노 선율이 함께 흐르는 곡의 흐름은 강화성 작곡가의 진면목을 느끼게 한다.
이는 시적인 가사의 섬세한 감성을 조심스럽게 품어가는 가수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배려이다. 이렇게 완성된 노래는 이른 봄에 피어나는 제비꽃 보랏빛 감성이 말갛게 맺혀있다.
일본에 제비꽃 노래의 아름다움을 전해줄 수 있는 전도사 역할을 할 수 있었으면 한다는 가수의 소망처럼 한국과 일본 대중문화 교류의 소중한 길을 열어가는 가수가 되기를 기대한다. artwww@naver.com
필자: 이일영
한국미술센터 관장. 칼럼니스트. 시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inger who emerged as the top star through the MBN music entertainment program Korea-Japan King of Singers, the first program planned in the history of Korean and Japanese pop music, is Japanese singer Rie Utagokoro.
The song "Snow Flower" (雪の華) that the singer sang in the 3rd Korea-Japan King of Singers has recorded an incredible 7.53 million views as of this morning for a single song and single version, ranking it as the undisputed 1st place among the singers from both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Japan King of Singers. In addition, "The Clown's Sonnet (道化師のソネット)" that she sang in the 5th Korea-Japan King of Singers is in 3rd place with 6.2 million views.
On June 13, a special feature on Rie Utagokoro was aired on Fuji TV's morning live broadcast "Mezamashi 8" (めざまし8). The broadcast began with the subtitle, "Unknown Japanese female singer Utakokoro Rie is very popular in Korea," and introduced a video of singer Rie singing that had 3.7 million views on YouTube at the time, praising her as a "made-in-heaven voice."
She was a singer with 30 years of experience who debuted as a vocalist for the trio Letit go in 1995 and sang the popular song "200-fold Dream," which was well-known as the Japanese Pocari Sweat commercial song, but she was an unknown singer.
The sing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Japan King of Singers competition as the runner-up of Trot Girls Japan was 51 years old and the oldest among the two countries' representatives. She crossed the Genkai Sea and became a star in Korea, showing off her outstanding skills of singing like an instrument with a deeply appealing tone.
The singer released his first single album, which reinterprets the song “Violet” released by the late Jo Dong-jin (1947-2017), a master of domestic folk songs, in his 3rd album in 1985, as a modern pop ballad, through various online music sites at 6 p.m. on the 21st. This is his first official Korean-language song, and he is also the first to release a single among the top 7 Japanese representatives in the Korea-Japan King of Singers.
Listening to the singer’s song “Violet,” the emotions contained in the lyrical arrangement of composer Kang Hwa-seong, who took into account the singer’s tone and emotions, touched me like water drops falling on my bare skin.
Jo Dong-jin’s original song is a warm song like the sunlight of a spring day with its slow, unadorned lyricism that lacks vibration. However, the flow of the song, which starts with a lyrical guitar melody and flows with a piano melody that foreshadows the singer’s clear song, deeply dismantles the boring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ong, allowing me to feel the true face of composer Kang Hwa-seong.
This is the singer's consideration for Korean pronunciation that carefully embraces the delicate emotions of poetic lyrics. The song completed in this way is cleanly filled with the purple emotions of violets blooming in early spring.
Just like the singer's wish to be a missionary who can convey the beauty of violet songs to Japan, I hope that he will become a singer who opens a valuable path for exchange of Korean and Japanese popular culture. artwww@naver.com
Author: Lee Il-young
Director of the Korean Art Center. Columnist. Po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