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대종교, 윤석열 대통령에 개천절 참석 요청 “건국절 논란에 종지부 찍어야”

광복회 “개천절을 건국기원절로 바꾸자”...개천절에 담긴 민족 자긍심은 어떻게?

이백산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09/09 [07:10]

대통령이 다가오는 10월 3일 개천절 경축식에 참석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가고 있다. 

항일독립운동의 총본산인  박민자 대종교 총전교는 윤석열대통령이 올해 개천절 경축식에 참석해 경축사를 해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박 총전교는 “대한민국 개천절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범국가적인 행사가 아닌 국무총리 경축사에 이어 국사편찬위원장의 경과보고로 끝나는 가벼운 행사”로 전락했다며 지난 9월 8일 이같이 밝혔다. 이런 내용의 민원을 이날 대통령실에 접수했다. 

 

이어 박 총전교는 건국절 논란과 관련하여 윤 대통령이 “개천절이 곧 건국기원절임을 선포해야 한다”며 그래야 “1948년 건국절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고 거듭 밝혔다. 박 총전교는 독립운동가 홍암 나철 대종사(건국훈장 독립장)의 종손부(從孫婦)이다.

 

박 총전교는 “개천절은 대한민국 역사의 뿌리이자 자긍심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단 두 개의 국경일 중 하나가 바로 개천절(건국기원절)”이라고 의미부여를 했다.  

 

대종교 총본사는 그동안 여러차례 정부 측에 언론 보도 등 다양한 경로로 개천절의 중요성과 함께 개천절 정부행사에 대통령 참석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한 적이 있다. 그럴 때마다 정부측은 “개천절을 비롯한 주요 국경일 행사의 대통령 참석여부는 그간의 ‘선례(先例)’를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으니 이해하여 주시기 바란다”는 기계적인 답변만 반복해 왔다.

 

10월 3일 개천절은 1949년부터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국경일로 지정되어 지금까지 시행해 오고 있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까지는 대통령이 직접 정부 개천절 행사에 참석했고, 불참시 국무총리가 대독했다. 全 대통령이 1985년 개천절(제4317주년)에 참석해 경축사를 한 것이 마지막이다. 

 

하지만 노태우 대통령부터 대통령이 아예 참석하지 않고 대통령 명의의 경축사를 국무총리가 일률적으로 대독을 해왔고, 2011년부터는 이마저도 국무총리 주재의 경축사로 격하되었다.

 

  1964년 10월 3일 개천절 경축식에 참석한 박정희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단상 중앙에 앉아 있는 모습, 마이크 앞에는 윤치영 서울시장. 출처: 서울기록원)

 

이어 박 총전교는 “대통령의 경축사를 대독하는 것이 아닌 국무총리의 본인의 경축사를 듣고 있자면, 우리 국민이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혼란스러움을 넘어 이제는 분노가 치미는 경우에까지 이르렀다”고 개탄했다.

 

대통령이 아닌 국무총리가 행사를 주관하다 보니 국회의장이나 대법원장 등 3부요인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불참하는 국무위원들도 늘어가며 국무총리 경축사에 이어 국사편찬위원장의 경과보고로 끝나고 있어서 사실상 “개천절 국경일 행사를 범국가적인 행사가 아닌 국사편찬위원회의 내부행사로 전락시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라고 하소연하며 대통령의 경축식 참석을 거듭 요구했다. 2013년 9월에는 민족운동 단체도 대통령의 개천절 참석을 촉구하며 국민청원(167만명 서명)을 한 바 있다.

 

한편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20년에 ‘건국기원절’(음 10월 3일)이라는 이름의 국경일을 제정해 기념했고, 1949년 정부수립 후에 오늘의 ‘개천절’로 국경일 명칭을 변경했다. 당시 건국기원절은 이름에서 보듯이 임시정부를 자축하기 위한 기념일이 아니었다. 

 

조덕천 전 학예연구사가 밝힌 바에 의하면, 임시정부가 건국기원절을 국경일 명칭으로 채택한 이유는 “우리의 나라 역사가 처음으로 비롯한 것을 기념하지 아니하면 아니 되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단군이 나라를 세운 날[建國, 기원전 2333년 음력 10월 3일]을 더 중요하게 여긴 것이다. 특히 ‘처음으로 비롯한 것’ 즉 기원(紀元)이라는 말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을 다시 정리하면, ‘단군이 나라를 처음 세운 날’이 모든 건국의 기원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임시정부는 처음에 “건국기원절(建國紀元節)이라고 특별한 이름을 정했다”고 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처음부터 건국의 기원을 단군의 고조선에 두었던 것이지 ‘대한민국’에 두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소중한 것은 ‘대한민국’ 국호가 처음으로 제정되고, ‘민주공화제’를 우리가 자주적으로 채택하였기 때문이다. 1948년 8월 15일은 정부를 수립한 날이지 신생 독립국을 세운 날이 아니다. 

 

지난 9월 6일 광복회는 개천절 명칭을 처음처럼 ‘건국기원절’로 바꾸자고 주장했다. 이는 1948년 건국절을 주장하는 뉴라이트의 목소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렇지만 그동안 국민의 귀에 익은 개천절이라는 국경일이 쉽게 바뀌지는 않을 것같다. 개천(開天)이라는 말 속에는 지구상의 200여 국가가 저마다 건국절이라고 칭하는 것에 반해 우리 민족이 지구상에서 처음으로 하늘을 열었다는 자긍심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일부 기독교인들이 개천절이 대종교 종교행사에서 비롯되었다고 대종교측에 비난하고 있다고 전한다. 이는 건국절을 만든 다음에 개천절을 폐지하려는 음모를 드러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대종교 자체가 독립운동의 방편(方便)으로 창립되었고, 그 개천절 역시 일제의 탄압속에도 굽히지 않는 독립운동의 방편이었지 종교 포교를 목적으로 창립된 것은 아니었다. 오늘날 우리 국민 누구도 개천절을 대종교 행사로 여기지 않는다. 크리스마스(기독탄신일)가 미군정청이 국내에 있는 미군을 위해 1945년 공휴일로 정한 이래 대한민국 공휴일이 된 것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onggyo Requests President Yoon Seok-yeol to Attend National Foundation Day “We Must Put an End to the National Foundation Day Controversy”

 

- Lee Baek-san Columnist

 

Chuncheon Jungdo civic groups press conference to “designate the entire Jungdo site as a national historic site”

 

Daejonggyo requests President Yoon to attend Gaecheonjeol, “We must put an end to the controversy over National Foundation Day”

Gwangbokhoe “Let’s change ‘Gaecheonjeol’ to National Foundation Day”... What about the national pride contained in Gaecheonjeol?

 

Public opinion is growing that the president should attend the Gaecheonjeol celebration on October 3.

 

Park Min-ja, the head of Daejonggyo, the headquarter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strongly demanded that President Yoon Seok-yeol attend the Gaecheonjeol celebration and give a congratulatory speech.

 

Park stated on September 8,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come a light event that ends with a congratulatory speech by the Prime Minister and a progress report by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rather than a national event attended by the President.” A petition of this nature was filed with the Office of the President that day.

 

Regarding the controversy over National Foundation Day, Representative Park repeatedly stated that President Yoon “must declare ‘Gaecheonjeol as National Foundation Day’” and that only then “can we put an end to the controversy over National Foundation Day in 1948.” Park is the daughter-in-law of independence activist Hongam Na Cheol.

 

Representative Park explained that “Gaecheonjeol is a national holiday that commemorates the roots of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pride. One of the only two national holiday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 Gaecheonjeol (National Foundation Day).”

 

The headquarters of Daejonggyo has repeatedly issued statements to the government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media reports, urging the president to attend government events on Gaecheonjeol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Gaecheonjeol. Every time, the government has only given a mechanical response, saying, “We are deciding whether or not the president will attend major national holidays, including Gaecheonjeol, by considering ‘precedents’ from the past, so please understand.”

 

October 3rd National Foundation Day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holiday by the National Holidays Act since 1949 and has been observed to this day. Former Presidents Syngman Rhee,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the presidents attended the government’s National Foundation Day ceremonies in person, and if they were absent, the prime minister read them on their behalf. However, starting with President Roh Tae-woo, the presidents did not attend at all and the prime minister read the congratulatory speeches in the president’s name, and since 2011, even this has been downgraded to a congratulatory speech presided over by the prime minister.

 

Park then lamented, “If we listen to the prime minister’s own congratulatory speech instead of the president’s congratulatory speech, our people are confused about how to understand it, and now it has reached a point where we are filled with anger.”

 

Since the Prime Minister, not the President, hosted the event,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including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were not visible, and the number of State Council members who did not attend increased. The event ended with the Prime Minister’s congratulatory address and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s progress report, so much so tha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National Foundation Day national holiday event is being relegated to an internal even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rather than a nationwide event,” and repeatedly demanded that the President attend the celebration.

 

Meanwhil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signated and celebrated a national holiday called “Gukguk Giwonjeol” (October 3rd of the lunar calendar) in 1920, and changed the name of the national holiday to today’s “Gukguk Giwonjeol”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9. At that time, National Foundation Day was not a commemorative day to celebrate the Provisional Government, as its name suggests.

 

According to former curator Cho Deok-cheon, the reaso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dopted National Foundation Day as the name of the national holiday was because they thought, “We must commemorate the beginning of our country’s history.” This is because the day Dangun founded the country [建國, 3rd day of the 10th lunar month, 2333 BC]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the word “origin”, i.e. “the day that Dangun first founded the country”, is the origin of all founding countries. That is wh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itially said, “We decided on a special name, ‘Geongukgiwonjeol (建國紀元節)’.” From this, we can see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beginning placed the origin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in Dangun’s Gojoseon, not in ‘Republic of Korea.’ Nevertheles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19 is important because the name ‘Republic of Korea’ was first established and we independently adopted the ‘Democratic Republic.’ August 15, 1948 was the day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not the day a new independent country was established. On September 6, the Gwangbokhoe insisted that the name of Gaecheonjeol be changed to ‘Gukgukgiwonjeol’, as it was originally. This seems to be an attempt to fundamentally block the voices of the New Right, who insist on the 1948 National Foundation Day. However, it seems unlikely that the national holiday Gaecheonjeol, which has become familiar to the people, will change easily. This is because the word Gaecheon (開天) contains the pride that our people were the first on earth to open the heavens, while over 200 countries on earth each call it National Foundation Day.

 

It is reported that some Christians are criticizing Daejonggyo for saying that Gaecheonjeol originated from a religious event of Daejonggyo. This is presumed to reveal a conspiracy to abolish Gaecheonjeol after creating National Foundation Day. However, Daejonggyo itself was founded as a mean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Gaecheonjeol was also a mean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did not bend even under Japanese oppression, and was not founded for the purpose of religious propagation. Today, no one in our country considers National Foundation Day as a major religious event. It is on a different level from Christmas (Christ's Birthday), which became a public holiday in the Republic of Korea in 1945 when the US military government designated it as a public holiday for US troops stationed in the country.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