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사람의 정, 하늘의 마음

사람 성품(性品)...정(靜)한즉 선도 없고 악도 없으며, 동(動)한즉 능히 선하고 능히 악해

김덕권 시인 | 기사입력 2019/08/14 [11:52]

▲ 김덕권 시인     ©브레이크뉴스

사람의 정(人情)이란 사람이 본디 가지고 있는 감정이나 심정 또는 남을 동정하고 이해하는 따뜻한 마음을 말합니다. BC 290년경에 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莊周)가 지은 책이《장자(莊子)입니다. 그 책 <덕충부(德充符)>에서 장자(莊子)와 그의 친구인 혜자(惠子)가 나눈 대화중에 ‘사람의 정’, 즉 ‘인정’에 관한 얘기가 나옵니다.

 

혜자가 장자에게 물었습니다. “사람에게는 원래 정(情)이 없는가?” 장자가 그렇다고 대답합니다. 혜자가 다시 묻습니다. “정이 없다면 어찌 사람이라 할 수 있는가?” 장자가 다시 말합니다. “도에서 기운을 받고 하늘에서 모양새를 받았으니, 이만하면 사람이라 할 수 있지 않은가?”

 

혜자가 또 말합니다. “이미 사람이라고 말한 이상 어찌 정이 없겠는가?” 장자가 답합니다. “자네가 말하는 정과 내가 생각하는 정은 다르네. 내가 생각하는 정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을 좇아 자신을 해치지 않고 자연의 흐름에 자신의 삶을 맡기고, 어떻게든 삶을 늘려 보려 헛된 수고를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네.”

 

혜자가 물었습니다. “오래 살려고 애쓰지 않는다면 어떻게 그 몸을 보전할 수 있겠는가?” 장자가 대답합니다. “도에서 기운을 받고 하늘에서 모양새를 받았음을 깨닫는다면, 좋고 싫은 감정에 휘둘려 자신을 해치는 일을 하지 말아야 하네. 내가 보기에 자네는 밖에서 헤매다 정신이 피곤해져 나무에 기대 탄식하고, 오동나무 책상에 기대 휴식이나 취하려 하고 있네. 하늘이 자네의 육체를 나무랄 데 없이 갖춰 주었건만 ‘견백론(堅白論)’ 따위의 궤변이나 늘어놓다니 안타깝네.”

 

이 <덕충부(德充符)> 대담을 이해하려면 ‘정’에 대한 혜자와 장자의 견해 차이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혜자는 장자와 같은 시대 사람으로 일종의 궤변론이라 할 수 있는 명가(名家), 즉 논리학파에 속합니다. 글의 내용을 통해 볼 때 혜자가 내세운 인간의 감정이란 각자의 개인적인 감정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장자가 말하는 감정은 하늘이 모든 사람에게 내려준 보편적인 정서를 의미하지요. 따라서 혜자가 내세우는 감정은 서로 다른 차별성으로 나타나며, 장자가 말하는 감정은 무엇에도 치우치지 않고 ‘하나로 통하는 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장자는 <달생 편>에서 각자의 입장을 떠나 보편적인 도로 돌아가야 한다면서 다음과 같이 밝힙니다. “세속을 버리면 바쁜 일이 없어지고, 바쁜 일이 없어지면 마음이 편해지고, 마음이 편해지면 자연에 동화되어 새롭게 바뀌며, 결국 도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세속을 버린다는 것은 일과 삶에 대한 개인적인 집착, 즉 개성에 대한 집착을 버린다는 뜻인 것 같습니다. 세속의 명예와 이익에 매달리지 않으면 탄식할 일도 힘들어할 일도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한 생사를 구별하여 수명을 늘리고자 연연하는 일을 그친다면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육체적인 수고로움으로 말미암은 탄식과 고단함에서 벗어나 정신적인 평화를 얻는다는 것은 곧 자연 상태에 이르는 것입니다. 이 상태가 되면 바로 장자가 말하는 차별 없는 보편적 정서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을 하늘의 마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어떻습니까? 역시 도가의 철학이 어렵지 않은가요? 사람의 정을 이처럼 형이상학(形而上學) 적 얘기로는 잘 이해가 안 갑니다. 그냥 소박한 그 인심이 그리운 것입니다. 장편소설 ‘대지(大地)’로 1938년 노벨 문학상을 탄 펄 벅(Pearl S. Buck : 1892~1973) 여사가 1960년 처음으로 우리나라에 방문했을 때의 얘기입니다.

 

펄 벅이 경주를 방문했을 때 한 광경을 목격합니다. 해질 무렵, 지게에 볏단을 진 채 소달구지에도 볏단을 싣고 가던 농부를 보았습니다. 펄 벅은 지게 짐을 소달구지에 실어 버리면 힘들지 않고 또 소달구지에 타고 가면 더욱 편할 것이라는 생각에 농부에게 물었습니다.

 

“왜 소달구지를 타지 않고 힘들게 갑니까?” 농부가 말합니다. “에이! 어떻게 타고 갑니까. 저도 하루 종일 일했지만, 소도 하루 종일 일했는데요. 그러니 짐도 나누어서 지고 가야지요.” 이런 광경은 당시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습니다. 펄 벅은 고국으로 돌아간 뒤,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광경이었다고 기록했습니다.

 

“서양의 농부라면 누구나 당연하게 소달구지 위에 짐을 모두 싣고, 자신도 올라타 편하게 집으로 향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농부는 소의 짐을 덜어주려고 자신의 지게에 볏단을 한 짐 지고 소와 함께 귀가하는 모습을 보며 짜릿한 마음의 전율을 느꼈다.” 고 술회했습니다.

 

또한 늦가을 감이 달려있는 감나무를 보고는 “따기 힘들어 그냥 남긴 건가요?”라고 물었습니다. 겨울새들을 위해 남겨 둔 ‘까치밥’이라는 설명에 펄 벅 여사는 또 감동을 했습니다. “내가 한국에서 가본 어느 유적지나 왕 능보다도 이 감동의 현장을 목격한 하나만으로도 나는 한국에 오기를 잘했다고 자신한다.”고 기록했습니다.

 

감이나 대추를 따면서도 ‘까치밥’을 남겨 두는 마음, 기르는 소를 내 몸처럼 사랑하는 마음, 이와 같이 작은 배려를 몸으로 실천하던 곳이 우리나라였습니다, 이렇게 우리 선조들은 자연과 사람은 한 뿌리임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농부가 봄철 씨앗을 뿌릴 때도 셋을 뿌렸습니다. 하나는 하늘(새)에게, 또 하나는 땅(벌레)에게, 나머지 하나는 나에게, 이것은 천지인(天地人)이 서로 나눠 먹는다는 뜻이 아닌가요? 소가 힘들어 할까봐 짐을 덜어 주려는 배려, 바로 이런 것이 ‘사람의 정’이고 ‘하늘의 마음’인 것입니다.

 

사람의 성품(性品)은 정(靜)한즉 선도 없고 악도 없으며, 동(動)한즉 능히 선하고 능히 악합니다. 우리가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의 정’을 키우고, ‘하늘의 마음’을 키우면 바로 ‘맑고 밝고 훈훈한 세상’이 오지 않을까요.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