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정계 인물, 모범적인 인간상을 제시하는 지도층이 없다!

[정치(선거와 정당) 스토리-1]진정한 정치가가 없는 대한민국의 초라한 자화상

김정기 시티넷(아태지방정부네트워크) 사무국 대표 | 기사입력 2023/09/11 [08:41]

▲▲필자/김정기 시티넷(아태지방정부네트워크) 사무국 대표.  ©브레이크뉴스 

돈과 연줄이 없으면 꿈과 희망이  없고, 재벌기업 사원이나  정부 관료 아니면 풍족한 생활을 할 수 없어 젊은이들도 헬 조선으로부터 떠나고 싶어한다.  작금의 한국사회가 위태위태하게 느껴진다. 기성세대로서 무한책임을 느낀다.

 

나  스스로도 한국인으로서 초라한 자화상을 보고 자괴감에 빠진 게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아마도 한국사회를 지배해왔던 이중구조의 모순 속에서 '노예생활'을 한 탓이리라. 또한 나와 동시대인들  대부분이 그렇듯이 어려운 가정환경을 거치면서 아낌없이 주는 사랑이 메말랐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여태까지 대한민국 파워엘리트들 중 진정으로  공사구분을 실천하면서 위민하고 애국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을 본 적이 별로 없다.

 

정치인들은 비생산적인 시한부  권력에 던져진 채 자신의 생존만이 최대 관심사다. 조선의 지배정신인 선비정치는 사라지고, 속물식 아전정치만 판을 친다.

 

중앙정부 고위관료들은 행정고시 출신이라는 동류 엘리트 의식에 사로잡혀 '우리끼리' 리그를 만들어 온갖 편의와 특권을 상호부조하면서 즐겁게 산다. 국민의 공복으로서 살신성인하는 정신을 잊은 채 불필요한 규제를 만들어 '우월적인 권한' 유지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재벌 기업가들은 개발경제 시대 때  국가로부터 받은 특혜를 망각한 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실천하지 않고, 부를 되물림하면서 그들만의 소공화국을  만들어 가치 추구는  커녕  '의식주'라는 동물적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바로 아래 단계에 있는 파워 엘리트 양성소라는 전문가 집단도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다. 미국의 경우, 전문직 종사자는 한 눈 팔지 않고 평생을 한 우물을 판다. 판사와 교수는 천직의식을 가지고 일하고 그래서 정년이 없다. 언론인은 자기 분야에서만 일하는 것에 엄청난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고 고령이 되어서도 활기차게 일한다. 한국을 보자. 정의를  실천해야 하는 판검사, 특히 검사는 현직 시절에는 마치 조폭처럼 패거리화가 되어 있고 은퇴 후에는 전관예우라는 시대착오적이고, 어떤 측면에서는 '사후뇌물죄'에 해당하는 중범죄를 밥 먹듯이 저지른다. 약자의 편에 서서 호민관 역할을 해야 하는 언론인은 '아니면 말고식 무책임'의 극치를 보이며 사회적 흉기로 전락한 지 오래인데도 언론인으로서의 생존이나 언론사 존폐를 위협할 정도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은 요원해 보인다. 오로지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만 전념해야 하는 교수가 정부나 기업 프로젝트 받아서 돈벌이에 급급하거나 정치권에 줄서서 고위공직에 진출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다. 한국 전문가 집단의 공통점은  현직 시절에는 사적 이익의 확대에만 골몰하다가 궁극적으로는 정치권에 기웃거리면서 권력까지 탐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누려온 것도 모자라 연장전까지 하면서 부귀영화를 확장하려는 것이다. 상도의상 기본예의가 없는 것이다. 그들이 천재인지 국민이 바보인지 도무지 판단이 서지 않는다.

 

그야말로 혼란 그 자체다. 이런 상황에서 선진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국민들의 행복지수는 낮을 수밖에 없다. 교육을 많이 받아도 정신적 여유가 없고, 돈을 열심히 버는데도 경제적 풍요가 없고,  이런 저런 활동을 다양하게  하지만 사회적 공허감만이 지배한다. 이것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초라한 현주소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도자 그룹이 다시 태어나 선진형 표상이 되어야 한다.  지도자는 매사에 정직해야 한다. 그래야 스스로 언행일치가 되고(Walking the talk), 사회적으로 투명해지고(Transparent Society), 국가적으로 법이 지배하는 사회(State by Rule of Law)가 된다. 다음으로 리더는 인간에 대한 사랑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스스로 나눎과 베품을 알고(Sharing), 사회적으로 관용적인 분위기가 만연하고(Tolerant Society), 국가적으로 행복이 넘치는 풍요로운 사회(Welfare State)가 된다.

 

<국민이 나서서  제대로 된 정치인을 키워야 한다>

 

한국에서 정치인(politician)은 누구인가?  한마디로 '거지군단'이다. 경제적으로 거지이고, 사회적으로 거지이고, 역사 속에서도 거지이다. 고비용 구조라 늘 재정적으로 허덕여야 하고, 국민의 존경은 커녕 존중도 받지 못하고, 공칠과삼(功七過三)이 아니라 과를 중심으로 혹평 받아 사표(師表)가 되기도 어렵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파워엘리트인 정치인을 이렇게 대접하지는 않는다. 이런 식으로 지도자들을 사지로 몰게 되면 그 비용은 결국 국민이 부담하게 되어 있다. 이것이 한국정치가 겪고 있는 후진적인 악순환이다. 상황이 이렇게 악화된 이유 중 하나는 후진적인 한국 언론의 '열등감에 기반한 우월의식' 때문이다. 이유는 각자의 상상에 맡긴다.

 

국민도 이제는 좀 더 현명해질 필요가 있다. 이것은 멀리 크게 보면 국민 모두의 일이다.  정치인 탓만 하는 게 능사가 아니다.  국민은 입법가로서 정치인을 잠재적인 범법자로 만드는 탈법의 사각지대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 그래서 당당하고 정의로운 '우리들의 영웅'을  많이 만들어내는 게  국민으로서 건강성을  유지하는데도 좋다. 한국 국민의 세계에 유래 없는 '기계적인 평등주의'의 결과로, 지도자로서 정치인도 나와 똑같다고 생각하는 것은  옳지만,  국민을 이끌고 가는 '지도자로서의 나와 다른 점'은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 그래야  거대 공동체로서의  대한민국도  비로소 국가적으로 무질서가 아닌 질서가 유지되고, 사회적으로 혼란이 아닌 안녕이  오는 것이다. 진정으로 믿고  따를 수 있는 정치 지도자가 없다는 것은 국민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불행이다.

 

중국 통일왕조 한당원명청 건국 영웅의  공통점이 뭔지 아는가? 모두가 '거지대장' 출신이라는 거다. 중국의 역대 왕조는 지배계층의 연속성이 없었다. 그도 그런 것이 너무나 굶주려서  통째로 먹어야하는데,  과거 지배계층을 몰살시키고 그들의 기득권을 빼앗아 독식하는 것이 제일 쉬운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왕조 말기에는 배부른 돼지가 되어 주색잡기가 일상적인 일이 되고,  영혼 없는 환관정치가 판을 치면서 몰락의 길을 걸었던 것이다.

 

한국의 역사는 중국과는 달리 왕조는 망해도 지배계층의 연속성은 있었다. 그래서 기본적인 품격은 유지했다. 요즘 한국 정치를 보면, 어쩌다가 운이 좋으면 거지대장이 대통령이 된다. 그래서 품격보다는 ABC까지 무너진 파격이 지배한다. 새로운 왕조시대가 열리는 시기의 중국과 판박이다. 문재인과 문빠(문재인 지지자들)도 원래 거지였다. 초대 거지대장 노무현은 위대한(?) 희생정신으로  평생 거지로 빌어먹을 신세였던 사람들을 살려냈다. 문재인 시절 전직 거지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지배계층(586 운동권세력)은 그들의 부귀와 영화를 유지하기 위한 20년 장기집권 계획을 세웠고, 성공했을 경우 이들을 주축으로 한 '좌파 운동권 독재'가 영속화되어 공화국의 탈을 쓴 현대판 왕조시대를 열었을 것이다. 다행히 윤석열 대통령이 이들의 꿈을 산산조각 냈다.

 

다시 말한다. 민주공화국  대한한국에 국민은 없는가? 왜 깨이고 열린 국민이 잘 안 보이는가?  공화국 시민으로서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을 지키려면 훌륭한 지도자 배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하여 다시는 과거에 머물기보다 미래를 향하고, 소모적인 갈등전쟁보다 생산적인 창조전쟁을 치르는 지도자를 만들어내야 하지 않겠는가? 

 

☆필자  김정기 시티넷 사무국 대표 이력

 

*학력

△뉴욕주립대(Stony Brook) 정치학과 수석 졸업(BA-Summa Cum Laude)

△마케트대(Marquette) 로스쿨 법학박사 (Doctor of Jurisprudence)

 

*외교안보 경력

 

△제8대 주 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 (13등급 대사)

△2010 상하이엑스포 대한민국관 정부대표

△시티넷(아태지방정부네트워크) 사무국 대표

△국민대 정치대학원 동아시아국제정치 특임교수

△베이징대 외국어대학 북한학 객좌연구원

△베이징대 동방학연구원 중국학 연구교수

 

*경제경영 경력

 

△거로출판사 청년 창업자 및 회장

△한국예탁결제원 국제펀드위원회 자문위원

△법무법인 영진 중국경제금융센터 고문

△동국대 경영전문대학원 석좌교수

△경희대 테크노경영대학원(용인) 객원교수

△한남대 경제학부 예우교수

△난징대 국제경제연구소 객좌교수

 

*교육 경력

 

△숭실사이버대 초대 총장

△성결대 교양교직학부 석좌교수

△용인대 교양대학 특임교수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외국어학당 영어강사

△서울대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이수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최고위과정 이수

 

*법조법학 경력

 

△법무법인 대륙아주 중국총괄 미국변호사

△숭실사이버대 법학부 전임교수

△고려대 법학대학원 최고위과정 '고정' 강연자

△밀워키지방법원 판사시보

△미국변호사협회 ADR분과 위원

 

*뉴미디어 경력

 

△자유한국당 팟캐스트 <적반하장> 패널 및 앵커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 <세계전망대> 정치평론가

△김정기TV <직필직설> 대표평론가

△인터넷 언론 브레이크뉴스 정치칼럼니스트

 

*정치 경력

 

△국민의힘 용인(병) 국회의원 경선후보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후보 정치행정분과 위원 및 선대위 정치개혁 총괄 자문위원

△자유한국당 오세훈 당대표후보 SH전략회의 총괄 및 선대위 조직본부 총괄본부장

△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후보 국제위원회 위원장 및 선대위 서울필승대회 준비위원장.

 

*저서

 

△대학생을 위한 거로영어시리즈[전10권](거로)

△나는 1%의 가능성에 도전한다(조선일보)

△한국형 협상의 법칙 (청년정신사)

△대한민국의 미래를 말하다 (도서출판 실크로드).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 politics, there is no leadership that presents an exemplary human image!

[Politics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Story-1] A shabby self-portrait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out true politicians

-Kim Jeong-gi, CEO of Citynet (Asia-Pacific Local Government Network) Secretariat

 

Without money and connections, there are no dreams and hopes, and unless you are an employee of a conglomerate or a government official, you cannot live a prosperous life, so young people also want to leave Hell Joseon. The current Korean society feels in danger. As an older generation, I feel infinite responsibility.

As a Korean myself, I have felt self-destructive more than once after seeing shabby self-portraits. This is probably due to living a 'slave life' amidst the contradictions of the dual structure that has dominated Korean society. It may also be because, like most of my contemporaries, my generous love dried up as I went through a difficult family environment.

Until now, among the power elites of the Republic of Korea, I have rarely seen anyone who truly practices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affairs and has a compassionate and patriotic heart.

Politicians are thrown into an unproductive, time-limited power, and their only concern is their own survival. Scholarly politics, the ruling spirit of Joseon, has disappeared, and only philistine subservient politics prevails.

High-ranking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re obsessed with the same elite consciousness of having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live happily by creating a league of 'ourselves' and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s and privileges to each other. Forgetting the spirit of living as a public servant of the people, they are only focused on maintaining their ‘superior authority’ by creating unnecessary regulations. Chaebol entrepreneurs forget about the preferential treatment they received from the government during the era of the developing economy, do not practi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nstead of pursuing value by creating their own small republics while passing on their wealth, they are interested in satisfying the animal need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as much as possible. There is.

The expert group called Power Elite Training Center just below is equally pathetic.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professionals spend their entire lives digging the same well. Judges and professors work with a sense of vocation and therefore have no retirement age. Journalists take great pride in working only in their field and work energetically even into old age. Let's look at Korea. Judges and prosecutors, especially prosecutors, who are supposed to practice justice, become gangsters like gangsters when they are in office, and after retirement, they commit serious crimes that are anachronistic and in some ways equivalent to 'posthumous bribery'. Journalists, who are supposed to stand on the side of the weak and act as tribunes, have shown extreme irresponsibility and have long since been reduced to a social weapon, but the introduction of a punitive damages system that threatens the survival of journalists or the existence of media companies is unlikely. It looks good. Professors who should focus solely on teaching and research are busy making money by receiving government or corporate projects, or are trying hard to advance to high-ranking public positions in the political world. What Korean expert group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only focus on expanding their personal interests while in office, but ultimately they snoop around in the political world and covet power. As if what they have enjoyed so far is not enough, they are trying to expand their wealth by going to overtime. There is no basic etiquette in mourning attire. I can't decide whether they are geniuses or the people are idiots.

It's truly chaos. In this situation, the happiness index of people living in advanced Korea is bound to be low. Even though they receive a lot of education, they do not have the mental space, they do not have financial abundance even though they earn money hard, and although they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only a sense of social emptiness dominates. This is the shabby state of Korea today.

So, what should you do? The leader group must be reborn and become an advanced leader. A leader must be honest in everything. Only then can we walk the talk, become socially transparent (Transparent Society), and become a nationally governed society by law (State by Rule of Law). Next, a leader must have love for people. Only then will we become aware of sharing and giving, a socially tolerant atmosphere will prevail (Tolerant Society), and the nation will become a happy and prosperous society (Welfare State).

<The people must step forward and raise proper politicians>

Who is a politician in Korea? In short, it is an ‘army of beggars’. They are economically beggars, socially beggars, and historically they are beggars as well. Due to the high cost structure, they always have to struggle financially, they are not respected let alone respected by the public, and it is difficult to become a master because they are criticized mainly for their departments rather than for their merits and demerits. No country in the world treats power elite politicians like this. When leaders are driven to death in this way, the costs are ultimately borne by the people. This is the backward vicious cycle that Korean politics is experiencing. One of the reasons the situation has worsened so much is because of the backward Korean media's 'sense of superiority based on a sense of inferiority.' The reason is left to each person's imagination.

The people also need to become wiser now. Looking at the big picture, this is everyone's job. Just blaming politicians is not the answer. As legislators, the people must liberate politicians from the blind spot of law evasion that turns them into potential lawbreakers. Therefore, creating more confident and just ‘our heroes’ is good for maintaining our health as a people. As a result of the unprecedented 'mechanical egalitarianism' in the world of the Korean people, it is right to think that politicians as leaders are the same as us, but we must acknowledge and respect the 'differences between me as a leader' and leading the people. Only then will the Republic of Korea, as a large community, be able to maintain order rather than disorder nationally, and achieve social well-being rather than chaos. It is unfortunate not only for the people but also for the country that there is no political leader who can be truly trusted and followed.

Do you know what the founding heroes of China's unified dynasty, Tang, Yuan, Ming and Qing have in common? They all come from a ‘beggar leader’ background. China's past dynasties lacked continuity in the ruling class. He is so hungry that he has to eat the whole thing, because the easiest way in the past was to exterminate the ruling class and take away their vested rights and monopolize it. Then, at the end of the dynasty, he became a well-fed pig, catching a fortune became a daily occurrence, and soulless eunuch politics became rampant, leading to his downfall.

In Korean history, unlike China, there was continuity of the ruling class even when the dynasty collapsed. So the basic quality was maintained. If you look at Korean politics these days, if you're lucky, a beggar becomes president. So, rather than class, the unconventionality that even ABC collapsed dominates. It is similar to China at the beginning of a new dynasty era. Moon Jae-in and Moonpa (Moon Jae-in supporters) were originally beggars. The first beggar leader, Roh Moo-hyun, with his great(?) spirit of sacrifice, saved the lives of people who had been beggars all their lives. During the Moon Jae-in era, the new ruling class (586 activist group), made up of former beggars, planned to stay in power for 20 years to maintain their wealth and fame, and if successful, the 'leftist activist dictatorship' led by them would be perpetuated, leading to the collapse of the republic. He would have opened a modern-day dynasty era. Fortunately, President Yoon Seok-yeol shattered their dreams.

Say it again. Are there no citizen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Why are we not seeing an enlightened and open people? In order to protect the basic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s citizens of the Republic, shouldn't we create a system to produce excellent leaders? So shouldn't we create leaders who look toward the future rather than dwelling on the past again, and who fight a productive war of creation rather than a wasteful war of conflict?

▲Author/Kim Jeong-gi, CEO of Citynet (Asia-Pacific Local Government Network) Secretariat. ©Break News

☆Author Kim Jeong-gi, CEO of CityNet Secretariat

 *Education

 △Graduate from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t Stony Broo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A-Summa Cum Laude)

 △Doctor of Jurisprudence, Marquette Law School

 *Diplomatic and security experience

 △8th Consul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Grade 13 Ambassador)

△Government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pavilion at the 2010 Shanghai Expo

△CityNet (Asia-Pacific Local Government Network) Secretariat Representative

△Special Professor of East Asian International Politics, Graduate School of Political Science, Kookmin University

△Visiting researcher of North Korean studies, College of Foreign Studies, Peking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of Chinese Studies,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Peking University

 *Economic management experience

 △Young founder and chairman of Georo Publishing Company

△Advisor, International Fund Committe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Advisor, Chinese Economic and Financial Center, Youngjin Law Firm

△Distinguished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Business, Dongguk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Techno Management (Yongin)

△ Honorary Professor, Department of Economics, Hannam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at Nanjing University Institute of International Economics

 *Education experience

 △First President of Soongsil Cyber University

△Distinguished Professor,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Education, Sungkyul University

△Special Professor, College of Liberal Arts, Yongin University

△English instruct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foreign language institutes

△Complete the national policy cours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ompleted the highest level course at Harvard University’s Kennedy School

 *Experience in legal studies

 △American lawyer in charge of China at Daeryuk Aju Law Firm

△Full-time professor, Department of Law, Soongsil Cyber University

△Korea University Law School’s highest level course ‘fixed’ lecturer

△Milwaukee District Court Assistant Judge

△American Bar Association ADR Division Member

 *New media experience

 △Liberty Korea Party podcast <Red Banner> panelist and anchor

△Youtube channel Sinui Hansu <World Observatory> political critic

△Kim Jeong-gi TV’s <Direct Direct Comment> representative critic

△Internet media Break News political columnist

 *Political career

 △ People Power Party Yongin (Byeong) National Assembly candidate

△Presidential candidate Yoon Seok-yeol of the People Power Party, member of the political administration division and advisory member of the political reform committee of the campaign committee.

△Liberty Korean Party representative candidate Oh Se-hoon, general manager of the SH Strategy Meeting and head of the election committee organization headquarters

△Grand National Party Presidential Candidate Lee Myung-bak, Chairman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and Chairman of the Election Committee's Seoul Victory Competition Preparation Committee.

 *Book

 △Georo English Series for college students [10 volumes in total] (Georo)

△I challenge the possibility of 1% (Chosun Ilbo)

△Rules of Korean negotiation (Youth Shinsa)

△Talking about the future of Korea (Silk Road Publishing).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