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문화콘텐츠과 전통 민화반의 이미형 주임교수. ©브레이크뉴스 |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문화콘텐츠과 전통 민화반 학생 22명의 작품을 전시하는 단체 전시회가 8월13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운현궁 기획전시실(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번지)에서 열린다. 주제는 “K-민화를 꿈꾸는 신사임당의 후예들(아래 그림 게재는 무순)>”.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문화콘텐츠과 전통 민화반의 이미형 주임교수는 이 전시회에 대해 “ 조선조 중기 명종 선조 때에 대학자 이이(1536~1584)가 있었다. 호는 율곡이다. 당대 유학계의 거두 이황과 쌍벽을 이루었던 대학자였다. 그의 어머니가 바로 대한민국 최고액 화폐 오만원 권의 주인공인 신사임당(1504~1551년)이다”고 소개하고 “신사임당이라 하면 우리 민화 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잠자리, 벌, 나비, 풀벌레 등의 그림을 남긴 ‘초충도’의 주인공이다. 또 자수와 서예에도 뛰어나, 해서 한 폭과 초서 여섯 폭을 남겼다. 그녀가 이이를 낳기 전에 다음과 같은 태몽을 꾸었다. 신사임당이 동해 바닷가에 갔는데 바다 속에서 한 선녀가 살빛이 백옥같이 흰 옥동자를 안고 나와 그녀의 품에 안겨주었다. 그 후 출산하는 밤에도 검은 용이 동해로부터 날아와 산실 머리에 서려 있는 꿈을 꾸었다. 출산 후 신사임당은 아기를 낳은 방을 몽룡실(夢龍室)이라 하고 아기 이름도 현룡(見龍)이라 하였다. 현룡이란 용이 나타났다는 뜻이다. 이 일화를 통해서도 신사임당은 민화에 천부적인 소질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알다시피 용은 민화의 주요 소재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신사임당의 효성은 지극했던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신사임당은 어머니를 두고 대관령을 넘어 서울로 갈 때 아래와 같은 시를 읊었다.
“늙으신 어머님은 임영(강릉의 옛이름)에 계시는데
서울 향해 홀로 가는 외로운 마음이여
때때로 머리 돌려 북평을 바라보니
흰 구름은 날아내리고 산은 저물어 가네“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문화콘텐츠과 전통 민화반의 이미형 주임교수는 “명지대 미래교육원 문화콘텐츠과 민화 교육과정 수강생 여러분들은 모두 신사임당 후예들로서 신사임당의 민화의 DNA를 물려받았다”고 피력하고 “지금 세계는 K– 콘텐츠에 열광을 하고 있다. 신사임당이 옥동자의 꿈을 꾸고 걸출한 이이를 낳았듯이, 우리도 용 그림을 그리면서 세계적인 용 그림이 될 수 있는 K- 민화의 꿈을 꾸자. 꿈(★)은 이루어 진다”고 강조했다.
![]() ▲ 강모아 작품. |
![]() ▲ 김영주 작품. |
![]() ▲ 김인석 작품. |
![]() ▲ 김정은 작품. |
![]() ▲ 김정진 작품. |
![]() ▲ 김진 작품. |
![]() ▲ 김태연 작품. |
![]() ▲ 류지숙 작품. |
![]() ▲ 박서경 작품. |
![]() ▲ 박예경 작품. |
이 대학의 미래교육원 문화 콘텐츠과 민화반 김민지 학생회장은 이 전시회와 관련 “코로나 팬더믹 시대를 맞이하여 밖으로만 돌던 나에게 삶의 무료함이 다가올 때쯤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캘리그라피이다. 제가 차분히 앉아 붓으로 한글을 쓰며 옛 멋에 어느덧 푸욱 빠지게 되었다. 그러던 중 한국의 정서를 담은 그림… 바로 민화를 알게 되었고 정말 운명처럼 만나게 되었다. 좋은 사람들과 뜻깊은 그림에 채색을 한 붓 한 붓 그어나가며 벌써 두 계절이 지나 강렬한 여름을 맞이했다”면서 “태양보다 더 뜨거운 대한민국의 얼이 담긴 민화로 여러분을 맞이해 보려 한다. 민화를 그리는 동안 모두의 마음에 기쁨과 설렘으로 한 장 한 장 그렸다. 마음이 평온해지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선조들이 머물고 생활했던 운현궁이라는 이 유서 깊은 곳에서 조상들의 혼이 담긴 민화 전시회를 개최한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문화 콘텐츠과’ 이미형 교수님과 학우 여러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알렸다.
![]()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문화콘텐츠과 전통 민화반 김민지 학생회장. |
아래는 단체전 참가자 명단과 작품의 제목이다.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문화콘텐츠과 전통 민화반 전시회 참가자 명단(가나다 순).
▲강모아=화혜절지도•화병도
▲김민지=화병도•화접도
▲김영주=소과도•모란도]
▲김인석=화병도•쌍용도
▲김정은=봉황도•괴속모란도
▲김정진=화조도•잉꼬의 날
▲김 진=모란의 자채•화병도
▲김태연=연과 물놀이•책걸이
▲류지숙=화조도•꽃들의 대화
▲박서경=책걸이•오리와 수초 속 비밀정원
▲박예경=부채의 모란•괴석 모란도
▲박현실=까치호랑이•화병도
▲신현숙=기명도•호작도
▲유주명=연화도•닭계도
▲이수아=요염호랑이•책걸이
▲이순예=책걸이•연화도
▲이윤경=오봉도•궁모란
▲이진아=화조도•매화는 연산홍
▲정정선=오봉도•십장생도
▲주민영=연과 잠자리•꽃과 나비
▲한률경=소과도•수국아 국화니
▲한지우=화조도•모란의 자채와 부처님손.
![]() ▲ 박현실 작품. |
![]() ▲ 신현숙 작품. |
![]() ▲ 유주명 작품. |
![]() ▲ 이수아 작품. |
![]() ▲ 이순예 작품. |
![]() ▲ 이윤경 작품. |
![]() ▲ 이진아 작품. |
![]() ▲ 정정선 작품. |
![]() ▲ 주민영 작품. |
![]() ▲ 한률경 작품. |
![]() ▲ 한지우 작품. |
![]() ▲ 김민지 작품.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yongji University's traditional folk painting class, 22 students' art exhibition 'group exhibition'
From August 13th to 21st, Unhyeongung Palace Special Exhibition Room, Seoul... The theme is “Descendants of Shin Saimdang Dreaming of K-Minhwa”
-Reporter Park Jeong-dae
A group exhibition featuring the works of 22 students from th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of the Myongji University Future Education Center will be held from August 13 to 21 at the Unhyeongung Special Exhibition Room (464 Samil-daero, Jongno-gu, Seoul). The theme is “Descendants of Shin Saimdang Dreaming of K-Minhwa”.
Lee Mi-hyeong, head professor of the traditional folk tale class at Myongji University Future Education Center, said about this exhibition, “There was a university student Yi Yi (1536-1584)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He is called Yulgok. He was a university student who was on a par with Yi Hwang, the head of Confucianism at the time. His mother is Shin Saimdang (1504~1551), the protagonist of the 50,000 won bill, the highest amount in Korea. He is the protagonist of 'Chochungdo'. He also excelled in embroidery and calligraphy, so he left one and six Chaucer prints. Before she gave birth to her lice, she had the following dream. Shin Saimdang went to the East Sea, and a fairy came out from the sea holding a jade child whose flesh was as white as white jade and put her in her arms. After that, on the night of giving birth, I had a dream that a black dragon flew from the East Sea and stood on the head of the sanctuary. After his birth, Shin Saimdang named the room where the baby was born Mongryongsil (夢龍室) and named the baby Hyeonryong (見龍). Hyeonryong means dragon appeared. From this anecdote, it can be seen that Shin Saimdang had a natural talent for folk tales. As you know, dragons are one of the main subjects of folk tales.”
It has been known that Shin Saimdang's filial piety was extreme. When Shin Saimdang left her mother and went to Seoul over Daegwallyeong, he wrote the following poem:
“My old mother is in Imyeong (the old name of Gangneung).
Lonely heart going to Seoul alone
She sometimes turned her head and looked at the North Pyeong
The white clouds are flying and the mountains are setting.”
Lee Mi-hyeong, head professor of the cultural content department of the Myongji University Future Education Center, said, “All of the students of the cultural content department of the Myongji University Future Education Center have inherited the DNA of Shin Saimdang’s folk tales as descendants of Shin Saimdang.” “Now the world is K-content. is passionate about Just as Shin Saimdang dreamed of Okdongja and gave birth to an outstanding child, let's dream of a K-minhwa that can become a world-class dragon painting while drawing dragons. Dreams (★) come true.”
Minji Kim, student council president of th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of the Future Education Center of the university, related to this exhibition, “I had a new experience when the boredom of life approached me, who only went out in the era of the corona pandemic. That's calligraphy. As I sat quietly and wrote Hangeul with a brush, I fell in love with the old fashioned style. In the meantime, a painting that captures the Korean sentiment… I got to know Minhwa right away and met like fate. Two seasons have passed and we have already welcomed an intense summer, drawing a brush with good people and painting meaningful pictures. While drawing folk tales, I drew one by one with joy and excitement in everyone's heart. I hope it will be a time to calm your mind.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Professor Lee Mi-hyeong and all of my classmates at th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of Myongji University Future Education Center, which held an exhibition of folk tales containing the souls of our ancestors in this historic place called Unhyeongung, where our ancestors stayed and lived.”
Below is the list of participants in the group exhibition and the titles of their works.
Myongji University Future Education Center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Traditional Folk Painting Class Exhibition Participants List
▲Kang Moa = Map of Hwahyejeol, Hwabyeongdo
▲ Kim Min-ji = Hwabyeongdo and Hwajeopdo
▲ Kim Young-joo = small fruit and peony]
▲ Kim In-seok = Hwabyeongdo, Ssangyongdo
▲Kim Jong-eun=Phoenix-do, monstrous peony-do
▲Kim Jeong-jin = Hwajo Island, Parakeet Day
▲Kim Jin=Peony’s vegetable and vase
▲Kim Tae-yeon = Playing in the water with a kite, bookshelf
▲Ji-sook Ryu = Conversation of flowers and flowers
▲Park Seo-kyung = Bookshelves, ducks and a secret garden in aquatic plants
▲Park Ye-Kyung=Peony of Fans, Peony of Strange Stones
▲Park Hyun-sik = Magpie tiger and vases
▲Shin Hyun-sook = Ki Myung-do and Hojak-do
▲ Jumyeong Yu=Yeonhwado · Chicken Gyedo
▲Lee Soo-ah = Glamorous Tiger Book holder
▲Soonye Lee=Book holder Yeonhwado
▲ Yoon-kyung Lee = Bong-do Obong and Moran Gong
▲Lee Jin-ah = Hwajodo, plum is Yeonsan-hong
▲ Jeong Jeong-seon = Obong-do · Ten Jangsaengdo
▲Joo Min-young = kite, dragonfly, flower and butterfly
▲Han Ryul-kyung = Small fruit, hydrangea, chrysanthemum
▲Ji-Woo Han = Flower of flowers and peonies and Buddha's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