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주시, 60억원 들여 발산공원 생태 복원…시민 품으로

환경부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선정…훼손지 복원해 생태학습‧휴식공간으로 조성…2027년 완료

이학수기자 | 기사입력 2024/12/14 [06:25]
▲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해 5월 11일 오후 서구 발산마을 별마루전망대를 방문해 발산근린공원 조성계획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 발산근린공원     


(광주=브레이크뉴스) 이학수 기자=도심 속 흉물로 방치됐던 광주 서구 발산공원이 생태숲으로 재탄생, 시민 품으로 돌아온다.

 

광주시는 환경부의 ‘도시생태축 복원사업’에 ‘발산근린공원’이 최종 선정, 국비 42억원을 포함해 총 60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발산공원은 지난 1967년 도시공원으로 지정됐으나 50년 이상 사업 추진이 되지 않은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발산공원 부지 대부분은 녹지 훼손과 경작, 쓰레기 투기 등으로토양오염이 심각하고 경관도 열악해 ‘도심 속 흉물’로 지적됐다.

 

발산공원 복원사업은 전체면적 10만7047㎡ 중 이미 공원으로 조성한 곳을 제외한 9만4661㎡를 추진한다.

 

광주시는 발산공원을 단순한 녹지공간 조성을 넘어 도시 생태계의 중심축으로 복원하고, 시민에게 쾌적한 녹지환경과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생태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시는 2025년 설계에 들어가 2027년까지 복원 사업을 진행한다. 훼손지와 생물 서식처를 복원하고 단절된 생태축을 연결해 생태 학습 및 시민 휴식 공간으로 조성한다.

 

시는 이번 발산생태축 복원사업이 도시생태계 복원의 모범사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생태도시 광주로 만들어갈 방침이다.

 

김재중 광주시 도시공원과장은 “발산생태축 복원사업은 단순히 녹지를 복원하는차원을 넘어 광주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로 도약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도시공원의 생태적 가치를 높이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wangju City spends 6 billion won to restore the ecology of Balsan Park… Back to the citizens

Sele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the ‘Urb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Restore damaged areas to create an ecological learning and relaxation space… Completion by 2027

(Gwangju=Break News) Reporter Lee Hak-soo=Gwangju Seo-gu Balsan Park, which had been neglected as an eyesore in the city, has been reborn as an ecological forest and will return to the citizens.

Gwangju City announced on the 13th that ‘Balsan Neighborhood Park’ was finally selected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Urb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and secured a total project cost of 6 billion won, including 4.2 billion won in national funds.

Balsan Park was designated as an urban park in 1967, but it is one of the long-term unimplemented urban parks that has not been implemented for over 50 years. As a result, most of the Balsan Park site has been severely polluted due to damage to green space, farming, and littering, and the landscape is poor, and has been pointed out as an ‘eyesore in the city’.

The Balsan Park restoration project will be carried out on 94,661㎡ out of the total area of ​​107,047㎡, excluding areas already developed into parks.

Gwangju City plans to restore Balsan Park as the central axis of the urban ecosystem beyond the simple creation of green space, and provide citizens with a pleasant green environment and an ecological space rich in biodiversity.

The city will begin the design in 2025 and carry out the restoration project until 2027. It will restore damaged areas and habitats and connect disconnected ecological axes to create an ecological learning and resting space for citizens.

The city plans to make Gwangju a sustainable ecological city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so that this Bals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can become a model case of urban ecosystem restoration.

Kim Jae-joong, head of the Gwangju City Urban Park Division, said, “The Balsan Ecological Axis restoration project will be an important stepping stone for Gwangju to leap forward as a sustainable ecological city beyond simply restoring green space,” and added, “We will do our best to increase the ecological value of urban parks and provide citizens with a pleasant environment.”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전남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