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세계 기마 문화 축제' 한국 유치,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가?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2/04 [22:41]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터키는 우리와 형제국가이다. 멀리까지 가면 그 역사가 흉노까지 유추할 수 있겠지만 고구려와의 관계에 있어서 본다면 돌궐은 고구려와 대립한 경우가 많았었다. 그러나 때로는 동맹하여 거대한 세력인 수나라, 당나라를 공격하기도 하였고 당나라와의 관계보다 고구려와 내왕(來往)이 잦기도 하였다. 

 

이러한 돌궐과 고구려의 관계가 급속도로 진행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였고 여태까지의 터키와 중앙아시아 투르크 국가들이 이를 인정하고 있다. 몽골에서 터키에 이르는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여러 국가들은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고구려와 돌궐의 관계를 예로 들며 한국을 ‘형제 나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알타이에 기원을 둔 민족이 대륙의 세력 부침에 따라 동서로 이동해 오늘의 형세를 이루었다고 보는 것이다. 우리와 몽골-투르크 벨트의 역사관계를 조사·연구하면 한국사의 지평은 아시아 대륙 전체로 확장될 수 있다. 

 

마침 동북아역사재단이 2010년 투르크 아카데미와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했다. 투르크 아카데미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학술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카자흐스탄과 터키, 키르기스스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이 여기에 연계되어 있으며 학술적, 문화적 교류가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역사와 문화, 혈연적인 부분에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시베리아, 몽골, 중앙아시아, 터키 등과의 상호관계를 구명(究明)하면 중화사상에 의해 침탈된 역사관도 극복할 수 있고 앞으로 대륙으로 진출해 경제적인 효과도 분명 나타난다. 이를 통해 유라시아 초원과 한반도가 하나로 연결되는 고리들이 만들어질 것이고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일본의 역사왜곡은 점차 분쇄되는 효과를 갖게 될 것이다. 게다가 한국의 지정학적 위상을 보완하는 새로운 출구도 확보될 수 있다. 

 

세계기마축제는 이 모든 것을 하나로 연결하는 시작점이다. 유라시아 대초원을 지배했던 유목제국들과 우리는 형제의 민족이자 국가이듯이 우리와 유라시아 유목민족들은 서로의 문화적 영향을 주고받았다. 특히 기마문화는 지역적, 환경적인 영향으로 서로 교류할 수밖에 없는 지정학적 위치도 함께 공유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와 발해가 투르크 및 흉노의 문화와 접변해 있는데 이들과 교류 근거는 고구려 고분 벽화 속에 표현되고 있다. 특히 말 위에서 묘기를 부리는 마사희(馬事戱), 말이 끄는 수레에 앉아 위엄을 부리는 귀족들의 수레 행렬, 사냥하며 뒤돌아 활을 쏘는 배사 전법, 마갑(馬甲)을 장착한 개마무사들 등은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 등장하는 장면들이다. 고분에만 존재하고 있던 이와 같은 문화들은 카자흐스탄과 몽골 일대의 암각화에도 비슷한 그림들이 새겨져 있다. 이 그림들은 선사시대 이래 한반도와 시베리아, 몽골, 중앙아시아 사이에 유라시아 유목민들의 이동과 문명의 교류, 혈연의 중첩 등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근거들이다.

 

따라서 세계기마축제가 한국에서 열려야 하는 당위성은 한국과 투르크 민족 및 국가들과 교류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정작 가장 고전적인 문화적 교류가 생각보다 적다는 것에 있다. 특히 알타이 계통의 민족들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문화는 기마문화에 있다. 다른 문화 교류나 학술 교류는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북아시아 기마문화의 본 고장인 한국에서 형제의 국가들을 불러 축제를 치를 수 없다면 다른 문화 교류나 학술 교류마저 그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 이번에 세계기마축제가 한국에서 열린다면 유라시아의 형제 국가들과 축제로 단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고 국가 간의 경제적 교류 또한 서로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면서 함께 공존하여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s the hosting of the 'World Equestrian Culture Festival' in Korea going well?

Columnist Jeong Gil-seon

 

Turkey is our brother country. If we go back far enough, we can infer its history as far as the Huns, but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Goguryeo, the Gokturks were often in conflict with Goguryeo. However, they sometimes allied with the great powers of Sui and Tang, and there were more frequent exchanges with Goguryeo than with Tang.

 

Ironically,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Gokturks and Goguryeo developed rapidly after the fall of Goguryeo, and Turkey and Central Asian Turkic countries have acknowledged this to this day. Many Turkic countries in Central Asia, from Mongolia to Turkey, unanimously ci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the Gokturks as an example and recognize Korea as a 'brother country'. They believe that a people originating in Altai moved east and west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power on the continent, and formed the current situation. If we investigate and study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us and the Mongolian-Turkic Belt, the horizon of Korean history can be expanded to the entire Asian continent.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signed an academic exchange agreement with the Turkic Academy in 2010. The Turkic Academy i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established to promote academic exchanges among Central Asian countries. Kazakhstan, Turkey, Kyrgyzstan, Azerbaijan, Uzbekistan, Turkmenistan, etc. are connected here, and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s are taking place to this day. If we clarify the historical, cultural, and blood-rel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Manchuria, the Maritime Province, Siberia, Mongolia, Central Asia, Turkey, etc., we can overcome the historical view that has been invaded by Sinocentrism, and economic effects will certainly appear in the future as we advance into the continent. Through this, links will be created that connect the Eurasian steppe and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Japan’s historical distortion will gradually be crushed. In addition, a new exit that complements Korea's geopolitical status can be secured.

 

The World Equestrian Festival is the starting point that connects all of these. Just as the nomadic empires that ruled the Eurasian steppe are brothers and nations, we and the Eurasian nomadic peoples have exchanged cultural influences on each other. In particular, equestrian culture shares a geopolitical location that makes it inevitable for them to interact with each other due to region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In particular, Goguryeo and Balhae came into contact with the cultures of the Turks and the Huns, and the basis for their interactions with them is expressed in Goguryeo tomb murals. In particular, scenes such as the Masahui (馬事戱) performing tricks on horseback, the procession of nobles sitting on horse-drawn carriages and showing off their dignity, the Baesah strategy of hunting and shooting arrows while turning around, and the Gaema warriors equipped with horse armor are scenes that appear in Goguryeo tomb murals. Similar pictures of these cultures, which existed only in tombs, are also engraved in rock carvings in Kazakhstan and Mongolia. These pictures are important evidence that show that since prehistoric times, there have been movements of Eurasian nomads, exchanges of civilizations, and overlapping blood tie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Siberia, Mongolia, and Central Asia. Therefore, the justification for holding the World Equestrian Festival in Korea lies in the fact that, although exchanges are taking place between Korea and Turkic peoples and countries, the most classic cultural exchanges are actually less than expected. In particular, the best culture possessed by the Altaic peoples lies in equestrian culture. Although other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s are sufficiently taking place, if Korea, the birthplace of Northeast Asian equestrian culture, cannot invite brother countries to hold festivals, even other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s may lose their meaning. If the World Equestrian Festival is held in Korea this time,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unite with brother countries in Eurasia through festivals, and it is expected that economic exchanges between countries will also increase trust in each other, creating a driving force for coexistence and growth.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